장애인 비하·노인 폄하…정치권 차별어 그만[반갑다 우리말]
언어(말)는 의사소통의 도구를 넘어 국민의 알 권리와 인권을 실현하는 연장입니다. 특히 공공기관에서 사용하는 공공언어는 국민이 정보에서 소외되지 않도록 누구나 이해할 수 있는 쉬운 우리말로 써야 합니다. 국민 건강과 안전에 직결되는 만큼 일상생활의 질을 좌우한다고 해도 그 의미는 넘치지 않을 겁니다. 이데일리는 문화체육관광부·㈔국어문화원연합회·세종국어문화원과 함께 공공언어의 현 실태를 들여다보고, 총 20회에 걸쳐 ‘쉬운 공공언어 쓰기’를 제안하는 것이 이번 연재의 출발이자 목표입니다. <편집자주>
[이데일리 김미경 기자] 더불어민주당의 김은경혁신위원회(이하 혁신위)가 최근 활동을 마무리했다. 혁신위는 ‘전당대회 돈봉투 의혹’, ‘김남국 의원의 코인투자 논란’ 등에 위기감이 커지자 당 쇄신을 위해 지난 6월 출범했다. 하지만 김은경 혁신위원장의 노인 폄하 발언 등 연이은 논란에 혁신 동력이 떨어지면서 조기 종료됐다.
김 위원장은 지난달 30일 서울 성동구 한 카페에서 열린 2030세대 청년들과의 좌담회에서 “왜 미래가 짧은 분들이 (젊은이들과) 똑같이 표결하느냐”고 발언해 노인 폄하 논란을 불러일으킨 바 있다.
정치권의 혐오표현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정치인의 장애인 및 약자 비하 혐오 표현은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다. 특히 대한민국 국회에서는 툭하면 혐오 발언이 튀어나온다.
김 위원장은 지난달 30일 서울 성동구 한 카페에서 열린 2030세대 청년들과의 좌담회에서 “왜 미래가 짧은 분들이 (젊은이들과) 똑같이 표결하느냐”고 발언해 노인 폄하 논란을 불러일으킨 바 있다.
정치권의 혐오표현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정치인의 장애인 및 약자 비하 혐오 표현은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다. 특히 대한민국 국회에서는 툭하면 혐오 발언이 튀어나온다.
지난달 12일 열린 실업급여제도 개선 공청회에서는 실업급여가 ‘시럽(syrup)급여’가 됐다. 노숙자 느낌(세월호 참사), 빈곤 포르노(동남아시아 순방), 시체 팔이(이태원 참사), 마약 도취(패스트트랙 처리), 돌팔이 과학자(후쿠시마 오염수), 절름발이 정책(국회 기재위 전체회의) 등. 정치권의 막말 리스트를 떠올려보면 참담한 수준이다.




评论
发表评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