跳至主要内容

정부 “후베이성 방문자, 증상 하나라도 확인되면 바로 격리조치”


질병관리본부, 중국 전역 ‘신종 코로나’ 오염지역 지정..“중국서 입국하는 여행객 건강상태질문서 제출해야”
이소희 기자 lsh04@vop.co.kr
발행 2020-01-26 19:10:42
수정 2020-01-26 20:14:47
이 기사는 번 공유됐습니다
정은경 질병관리본부장이 26일 정부세종청사 보건복지부 브리핑실에서 중국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2020.1.26
정은경 질병관리본부장이 26일 정부세종청사 보건복지부 브리핑실에서 중국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2020.1.26ⓒ서진 = 뉴스1 

26일 정부가 '우한 폐렴'으로 불리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이 중국 전역으로 확산되고, 국내 확진자가 3명째 발견되자 검역 및 관련 대응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이날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병의 중국 내 확산으로 국내 유입 가능성이 증대됨에 따라, 오는 28일부터 중국 전역을 '검역대상 오염지역'으로 지정하고, 사례정의도 변경하여 대응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검역대상 오염지역'은 검역이 필요한 감염병이 발생한 지역으로, 검역법 제5조에 따라 보건복지부장관(질병관리본부장)이 지정하는 지역이다. 중국 정부 발표에 따르면, 25일까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자는 1975명에 달하며, 이 중 1052명(53.3%)이 후베이성에서 나왔다.
이에 따라, 향후 중국에서 입국하는 모든 여행객은 '건강상태질문서'를 작성하여 입국시 검역관에게 제출해야 한다. 거짓으로 작성했다 적발되면 2000만원 이하 벌금이나 2년 이하 징역형을 받게 된다. 
발열 등 유증상자에 대해서는 검역조사가 실시되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이 의심되는 환자는 역학조사관 판단에 따라 즉시 격리되거나 관할 지자체에서 관리받게 된다.
질병관리본부는 해당 조치를 이행한 인력을 보강하기 위해, 국방부와 경찰청, 각 지자체 등으로부터 추가 검역인원 약 200명을 지원받아 배치한다. 
사례정의 변경 전후 비교
사례정의 변경 전후 비교ⓒ사진 = 질병관리본부
국내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확진자가 3명째 발생하자, 질병관리본부는 환자 신고·대응·관리를 위해 '사례 정의'를 변경했다. '사례 정의'는 감염병 감시·대응·관리가 필요한 대상을 정의하는 것으로, 정의 내용을 변경함에 따라 관련 대응이 달라진다.
이에 따라 후베이성 방문자(우한시 포함)는 발열 또는 호흡기 증상(기침, 인후통 등) 중 어느 하나라도 확인되면 바로 '의사환자(Suspected case)'로 분류돼 격리조치 된다. 후베이성 외 중국 지역 방문자는 폐렴 진단시 '조사대상 유증상자(Patient Under Investigation)'로 포함하여 격리조치하고, 발열과 호흡기 증상을 보이는 경우 역학조사관 판단에 따라 자가격리 또는 능동감시를 통해 관리한다.  
정 본부장은 "검역대상 오염지역 확대 및 사례정의 변경에 따라 격리 및 감시대상자가 큰 폭으로 증가될 것으로 예상된다"라며, "각 지자체에서는 선별 진료소 및 격리병원 확충, 감시 및 격리 관리 인력 추가 확보 등 필요 인력과 시설을 적극 동원해, 지역사회 확산을 예방하기 위해 선제적으로 대응해달라"고 주문했다.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예방 국민 행동수칙 
○ 기침 등 호흡기 증상이 있을 경우 마스크 착용 (의료기관 방문 시 반드시) 
○ 후베이성 등 중국 방문 후 의심증상 발생 시 관할보건소 또는 1339 문의
○ 중국 여행력을 의료진에게 알려주기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예방 의료기관 행동수칙
○ 호흡기 질환자 진료시 마스크 등 보호구 착용 
○ 의심되는 호흡기 질환자 내원 시 선별진료 철저 (여행력 문진 및 DUR 활용 등)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이 의심될 경우 관할 보건소로 신고
○ 호흡기 질환자 진료시 마스크 등 보호구 착용 
한편, 질병관리본부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확진환자 3명의 상황에 대해서도 설명했다.
현재 첫 번째 확진환자는 폐렴 소견이 나타나 치료중이고, 두 번째 확진환자의 경우엔 안정적인 상태다. 첫확진환자 접촉자 45명 중 4명, 두 번째 확진확자 접촉자 75명 중 7명이 '조사대상유증상자'로 확인됐으나 검사 결과가 모두 음성으로 나와 격리 해제된 상태다.
이날 아침 확인된 세 번째 확진 환자의 경우, 경기 명지병원에 격리 입원된 상태로, 즉각대응팀이 파견돼 CCTV분석, 카드 조회 등을 통해 역학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질병관리본부는 조사 결과가 나오면 추가로 공개하겠다고 밝혔다.  
정 본부장은 "이 분의 발병일을 22일 저녁 7시 정도로 추정한다. (환자 분께서) 그 때는 열감과 오한이 있어 그냥 몸살기라고 생각했고, 25일 아침에 기침, 가래가 생기니까 폐렴을 의심해 1339로 신고를 하신 걸로 답변하셨다"라며, "23~24일 이틀정도 지역사회 활동이 있으셔서, 저희가 정밀조사를 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가족 그리고 같이 동행해서 오신 분, 식사하신 지인 정도는 '밀접접촉자'로 분류해 파악되는대로 조치를 하고 있다. 나머지 지역사회 활동은 음식점 (방문) 등이어서, 일일이 CCTV를 봐야 밀접 접촉 여부가 확인된다. 계속 영상을 보며 판단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정 본부장은 "정부는 방역 역량을 총동원해 대비하고 있고, 단계적으로 대응조치를 강화하도록 할 것"이라며, "국민들의 불안감이 커지지 않도록 정부 대응 절차 및 정보를 신속·투명하게 공개하겠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국민들에게 "본인의 건강과 가족들의 건강보호를 위해서 개인위생수칙을 준수해 주시기를 바란다"며 '손 씻기', '마스크 착용하기', '기침예절 준수하기' 등을 당부했다. 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조기 발견 및 확산 차단을 위해서는 국민과 의료계의 협조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면서, 각각 국민 행동수칙·의료기관 행동수칙을 준수해달라고 촉구했다.

이소희 기자

작고 약하고 힘없는 이들의 목소리를 담은 따뜻한 기사를 쓰고 싶습니다. 우리가 함께 사는 세상이 더 나아지는데 힘을 보태겠습니다.


评论

此博客中的热门博文

[인터뷰] 강위원 “250만 당원이 소수 팬덤? 대통령은 뭐하러 국민이 뽑나”

‘영일만 유전’ 기자회견, 3대 의혹 커지는데 설명은 ‘허술’

윤석열의 '서초동 권력'이 빚어낸 '대혼돈의 멀티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