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날 아이에게 세배를 올리는곳


법인 스님 2020. 01. 31
조회수 723 추천수 0


스님들어린이들에게 큰 절을 올리다 -절집 설 이야기

<하나>


스님절-.jpg


절1-.jpg

그림절-.jpg



한 해가 오고 가는 전후에 어김없이 휴대전화에 문자가 수시로 들어온다새해는 모쪼록 건강하시고 좋은 일만 가득하시라는 덕담이다고마운 마음을 마음으로 받으면서 한편으로는 가볍게 웃는다무상한 몸이 어찌 늘 멀쩡할 수 있겠는가인생사 늘 좋은 일만 생긴다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것을 살아온 경험으로 알 수 있지 않나하긴현실이 힘들기 때문에 미래의 희망을 말하는 것이겠다.

설날은 늘 정겹고 따뜻하다아이들은 세뱃돈 받는 재미에 설날이 추석보다 좋다고 한다절집에서는 명절을 어떻게 보낼까스님들도 세뱃돈을 받을까? 3개월 한철을 면벽 좌선하며 수행하는 수행자들은 정월 초하루에도 쉬지 않고 수행할까먼저 답을 하자면 절집이라고 별반 다르지 않다.

경자년 정월 초하루새벽에 스님들과 재가 불자들이 대웅전에 모였다날마다 하듯이 아침 예불을 모셨다대웅전 예불을 마치고 스님들을 각자 다른 전각에 새해를 아뢴다약사전명부전극락전칠성각에 떡국 공양을 올리고 절을 한다그다음에는 설을 맞는 의식을 행한다절집 세배를 일컬어 세알(歲謁), 혹은 통알(通謁)이라고 한다새해를 맞아 불보살님과 인연 있는 생명들에게 대중들의 마음을 아뢴다는 뜻이다통상 통알이라고 한다.


세배.jpg
부도-.jpg

불전에 통알을 이렇게 시작한다그 절에서 제일 법납(출가 햇수)이 낮은 스님이 의식문을 낭독하고 대중이 따라 절을 한다. “복청 대중 일대교주 석가세존전 세알 삼배(伏請大衆 一大敎主 釋迦世尊前 歲謁三拜). 대중들은 엎드려 청하옵니다일대교주이신 석가세존님 전에 새해를 맞아 저희들의 절을 받으소서” ... 이어 시방삼세의 부처님과 보살님들불법의 가르침을 전한 역대의 스승님들승가의 대중들또 이 절을 창건한 조사님들절도량을 수호하는 선신과 토지신들그리고 뭇 영령들을 호명하며 절을 올린다.

불전에 통알을 하고 이어 법당에서 세배를 한다먼저 회주 도법 스님과 내가 앉아 스님 대중과 재가 대중의 인사를 받았다이어 재가 대중들이 스님들에게 세배를 한다회주 도법 스님의 덕담이 따른다. “ 부처님이 우리에게 당부한 마지막 가르침을 새기며 살아갑시다법을 밝히고 자기를 밝히는 일이 수행이고 일상의 행복입니다.” 그날 실상사에서 팔순을 넘기신 노스님이 모든 대중들에게 세뱃돈을 주었다나도 10000원을 받았다.

도법 스님이 마지막으로 한 마디 하신다. “혹여 하는 말인데이 통알이 끝나고또 예의 차린다고 제 방으로 오지 마십시오절집에는 워낙 대중들이 많아 여러 어른들에게 인사 올리는 일이 번거로워 이렇게 합동으로 하는 것입니다.” ... 취지가 이럼에도 큰 절에는 이 규칙이 잘 안 지켜지고 있다해인사와 통도사 등 큰 절은 어른 스님들과 산내 암자에 세배하는 일로 하루를 꼬박 보낸다공부하는 초심자 학승들은 세배 용돈을 어른들에게 받는 속셈도 있는 것 같다.
법당에서 통알이 끝나고 이어 대중들은 이 절을 창건한 홍척 국사 등실상사 역대의 큰스님들의 유골을 모신 부도를 참배했다세간 사람들이 조상 산소에 인사하는 것과 같다.

이후 떡국으로 아침 공양을 마치고 스님들은 다각실에 모여 식혜를 비롯 설 음식을 나누며 차담을 했다차담을 마치고 오전 10시에 법당에서 정월 칠일 기도를 올렸다해가 갈수록 정초에 절에서 기도하고 조상님들 차례를 지내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다고 한다세시풍속이 세태에 따라 변하고 있는 것이다.
점심 공양 이후 스님들은 실상사의 본사인 금산사로 세배를 떠났다불일 불이(不一不二), 같지도 않고 다르지도 않다는 뜻이다절집 설날도 그렇다.


설날-.jpg

윳-.jpg



<>
정월 초하루실상사에 머물고 있는 출가와 재가 대중이 법당에서 통알(절집 세배 의식)을 했다.
초 닷새 날은 공동체 식구들이 합동 세배를 했다우리 공동체의 이름은 '인드라망생명공동체'이다인드라는 인도 설화에 나오는 제석천의 인도식 이름이다그 천궁에 그물이 걸려있는데 그물코마다 구슬이 달려있다그 구슬들이 서로를 비추고 있는 모습을 상상해 보시라이를 중무진이라고 한다우리 생명들이 사는 모습이 인드라의 그물과 같다고 화엄경에는 말하고 있다그래서 실상사를 중심으로 모인 인드라망생명공동체는 '그물코 인생'을 바탕으로 '그물코 사랑'을 지향하고 있다공동체는 실상사한생명작은학교귀정사생명평화대학 등 많은 모임으로 이루어져 있다.


나의 덕담을 시작으로 여러 번의 세배가 있었다.
우리 공동체에서 세배를 받는 마지막 구성원은 어린이들이다.
미래의 부처에게 공경의 마음을 담아 인사를 올린다.
어린이집유치원초등학교에 다니는 2세들이 방 한가운데 원을 만들어 밖으로 향하여 앉았다스님들도할아버지 할머니들도엄마 아빠도형님 누나들도모두 어린이 부처님께 삼배를 올렸다.
이 아름다운 모습을 상상해 보시라. (애들에게 세배하는 일이 도저히 납득할 수 없다고 화를 내면서 세배에 참석하지 않는 불자들도 몇 명 있다.)

세배를 받고 한 어린이가 덕담을 했다.
"할 말은 많지만부디 건강하게 사세요"

评论

此博客中的热门博文

[인터뷰] 강위원 “250만 당원이 소수 팬덤? 대통령은 뭐하러 국민이 뽑나”

‘영일만 유전’ 기자회견, 3대 의혹 커지는데 설명은 ‘허술’

윤석열의 '서초동 권력'이 빚어낸 '대혼돈의 멀티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