跳至主要内容

尹과 다른 이재명 ‘소통’… 한국일보 “지금의 통합 의지만 유지해도 성공”

 

[아침신문 솎아보기] 제비뽑기·풀뿌리 지역신문 초청… 윤석열과 정반대 언론 소통

중앙일보는 민주당 불통 지적 “李가 강조해도 거대 여당이 독주 일삼으면”
조선일보 칼럼 “박근혜 대통령 탄핵 이후 보수는 대권 후보 ‘재생산’ 능력 상실”

▲2025년 7월3일 이재명 대통령이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대통령의 30일, 언론이 묻고 국민에게 답하다’ 기자회견을 마친 뒤 취재진과 인사하고 있다. ⓒ연합뉴스
▲2025년 7월3일 이재명 대통령이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대통령의 30일, 언론이 묻고 국민에게 답하다’ 기자회견을 마친 뒤 취재진과 인사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은 ‘불통’의 대명사로 불린 윤석열 전 대통령과 달랐다. 이 대통령은 내각이 다 꾸려지지도 않은 상황에서 지난 3일 취임 30일 기자회견을 개최했으며, 약속 대련이 아닌 즉석 질의응답을 주도했다. 대통령 기자회견 최초로 풀뿌리 언론을 초청하고 지역언론에 질문 기회가 주어지는 등 변화도 있었다. 주요 일간지들은 “자신감과 국민들의 높은 관심을 반영한 것”(한겨레) “강한 소통 의지를 드러낸 것”(한국일보)이라며 이 대통령에 대한 기대감을 표했다.

‘소통’ 전면 내세운 이재명 “자신감 반영한 것”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 3일 취임 30일을 맞아 청와대 영빈관에서 기자회견을 개최했다. 윤석열 전 대통령이 특정 언론사와 정해진 질의응답을 주고받는 ‘약속대련’을 보여줬다면, 이 대통령은 달라진 모습을 보였다. 주요 일간지들은 4일 이 대통령이 “검찰개혁은 자업자득”이라며 과감한 검찰개혁을 약속하고 추가적인 부동산 안정대책이 나올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 것을 강조했다. 또 취임 30일 만에 기자회견이 열린 것에 대해 “이재명 정부가 앞으로 어떻게 나아갈지 가늠할 수 있게 됐다” “강한 소통 의지를 드러냈다”는 긍정 평가가 나왔다. 조선일보는 이 대통령의 주제별 발언만 소개할 뿐 이번 기자회견에 대한 평가는 내리지 않았다.

▲4일 중앙일보 3면 갈무리
▲4일 중앙일보 3면 갈무리

중앙일보는 3면 <질문 추첨해 121분간 즉답, 취임한달 ‘이 대통령 자신감’> 보도에서 “대통령실은 이번 기자회견을 권위적이지 않게 보이려고 노력했다”며 “과거 정부 대통령 기자회견엔 보통 대통령이 좀 더 높은 곳에 앉도록 연단이 있었지만, 이번엔 없었다. 이 대통령은 참석자들과 같은 눈높이에 앉았다”고 설명했다. 다만 중앙일보는 “지역 언론 기자들에게 기회가 집중되면서 공공기관 이전 등 지역 사안에 질문이 쏠렸다. 결과적으로 인선과 외교 현안 등에 대한 깊이 있는 질문은 부족했다”고 평가했다.

한국일보는 이재명 대통령의 답변이 길어져 다양한 질문에 대한 답을 듣지 못했다고 했다. 한국일보는 4면 <연단 없애 같은 눈높이 ‘탈권위’… 질문할 기자 추첨 ‘無 각본’>에서 “각 질문에 대한 이 대통령 답변이 길어지면서 시간 부족으로 질문 개수가 예상보다 적어졌다”고 했다. 이번 기자회견에 참석해 지역 불균형 해소에 대한 질문을 한 옥천신문은 4면 기사를 통해 “처음으로 대통령실 출입기자단뿐만 아니라 풀뿌리 신문도 참여할 수 있게 해 의미를 더했다”며 “지역 불균형 해소를 위한 대책 마련 필요성에 대한 질문은 올해 처음 참여한 풀뿌리 기자단에서 나왔다”고 했다.

▲4일 한국일보 4면
▲4일 한국일보 4면

사설에서의 평가는 대체로 긍정적으로, 일간지들은 이 대통령이 이번 같은 행보를 꾸준히 이어가야 한다고 진단했다. 윤석열 전 대통령을 포함한 역대 대통령이 취임 초반에는 소통 행보를 강조했지만 국정 운영 과정에서 ‘불통’의 늪에 빠지는 경우가 많은 만큼, 초심을 잃지 말아야 한다는 것이다. 또 차별금지법 관련 질문에 ‘민생경제가 우선’이라 답하는 등 아쉬운 부분이 있다는 비판도 나온다.

한겨레는 사설 <이 대통령 첫 기자회견, 실용·소통 자세로 성과 내야>에서 “역대 대통령 가운데 가장 빨리 이뤄진 첫 기자회견”이라며 “이 대통령의 자신감과 국민들의 높은 관심을 반영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지금까지 보여준 실용, 소통, 통합의 자세를 잃지 말고 대한민국과 국민을 성공으로 이끌기 바란다”고 했다. 다만 한겨레는 이 대통령이 차별금지법 관련 질문에 대해 “민생경제가 우선”이라고 한 부분에 대해 “집권 기간 내내 차별금지법을 외면하겠다는 뜻이 아니길 바란다. 이 대통령이 천명한 국민주권 정부에, 소외되는 이들이 있어선 안 될 것”이라고 했다. 한겨레는 2면 기사를 통해서도 “인권단체들은 인권과 민생을 분리시키는 것은 문제라고 반발했다”며 “‘사회적 합의’를 핑계로 대통령이 책임을 회피하고 있다는 지적도 나왔다”고 했다.

경향신문은 <‘인사 탕평·지역 균형’ 소통한 이 대통령, 이런 회견 많아져야> 사설에서 “질문을 정하지 않고, 타운홀미팅 형식으로 자유롭게 이뤄진 회견은 이재명 정부가 한 달간 어떻게 달려왔고, 앞으로 어떻게 나아갈지 가늠할 수 있게 했다. 향후에도 격의 없고 다양한 문답으로 국민과 소통해가길 기대한다”며 “이날 회견이 이재명 정부 대국민·대언론 소통 일상화의 첫걸음이 되길 바란다”고 했다.

한국일보는 <이 대통령의 소통과 통합 기조, 정권 내내 유지하길> 사설에서 “아직 내각 구성이 이루어지지 않아 새 정부가 안착되지도 않은 환경인 점을 감안하면 이 대통령의 강한 소통 의지를 드러낸 것이라 평가한다”면서도 “역대 대통령이 취임 초 소통과 통합을 강조하다가도 정치·사회적 갈등이 격화하고 실정 등으로 지지율이 추락하면 ‘불통’에 빠져들었다. 대통령의 독선과 아집이 더 강해지면서 민심 이반과 함께 정권 위기가 초래되는 일이 반복돼 왔다. 지금의 소통과 통합 의지만 정권 내내 유지해도 성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4일 중앙일보 사설
▲4일 중앙일보 사설

중앙일보는 <소통·협치 강조한 이 대통령 첫 기자회견, 문제는 실천> 사설에서 “책임정치와 공무원 전문성 존중 의지가 읽혔다. 대선 공약을 이행하려는 의지도 밝혔다”며 “문제는 실천이다. 당장 3일 더불어민주당은 김민석 국무총리 후보자 임명동의안을 제1야당인 국민의힘 의원들이 불참한 가운데 국회 본회의 표결을 강행했다. 이 대통령이 아무리 야당과의 소통을 강조해도 거대 여당이 독주를 일삼으면 협치 노력은 빛을 잃는다”고 했다.

국힘 반대 속 김민석 임명동의안 가결

국회가 지난 3일 김민석 국무총리 후보자 임명동의안을 가결했다. 국민의힘 반대 속 이뤄진 표결이다. 국민의힘은 상법 개정안에는 합의했지만, 김 총리 임명동의안 가결은 끝내 동의하지 않았다. 동아일보는 8면 <김민석, 취임날 ‘송미령 반대’ 농민단체 방문… 野 “도덕성 낙제점”> 보도에서 “민주당이 국민의힘 반대에도 3일 김민석 국무총리 임명동의안 처리를 강행한 것은 내각을 통할하는 국무총리 임명이 더는 늦어져서는 안 된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라며 “하지만 김 총리 지명 철회를 요구해 온 국민의힘은 임명동의안 표결을 보이콧했다. 상법 개정안을 합의로 통과시켰지만 김 총리 인준을 두고는 끝까지 충돌한 것”이라고 평가했다.

▲4일 조선일보 사설
▲4일 조선일보 사설

조선일보는 <의혹 속 인준 金 총리 “野 더 만날 것” 약속 지키길> 사설에서 “국민의힘이 김 총리 임명에 끝까지 반대한 것을 두고 ‘새 정부의 발목을 잡기 위한 정략 아니냐’고만 하기에는 어려운 측면이 있다”며 국민의힘의 김 총리 반대가 타당한 측면이 있다고 지적했다. 조선일보는 김 총리의 재산형성 과정에 대한 의혹이 여전하다면서 “그럼에도 김 총리 임명동의안이 국회를 통과한 것은 여당이 다수 의석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했다. 또 조선일보는 “ 의혹이 해소되지 않은 상태에서 취임하는 만큼 국민의 시선을 무겁게 느끼고 더 겸허한 자세로 직무를 수행해야 한다. 새 정부의 첫 총리로서 자신을 반대한 야당과 적극적으로 소통하고 국정을 통합적으로 운영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4일 경향신문 사설
▲4일 경향신문 사설

반면 경향신문은 사설 <‘국정 2인자’ 된 김민석, 정치·민생 살린 책임총리 되길>에서 국민의힘 문제제기에 대해 “총리 업무 결격 사유로까지 보진 않는 것이 여론”이라고 평가하고, “국민의힘이 ‘협치 파기’ ‘독재’라며 새 정부 첫 종리 인준 표결도 불참한 건 유감스럽다”며 조선일보와 상반된 평가를 내렸다. 한겨레 역시 사설 <김민석 총리 인준, 국민만 바라보며 국정·협치 이끌길> 보도에서 “국민의힘은 분명한 결격사유를 드러내지 못했으면서도, 끝내 인준 표결마저 거부하며 비협조로 일관했다”고 했다.

위기의 국민의힘, 동아일보 “최우선 과제는 尹 완전 청산”

“23%”

지난달 27일 한국갤럽이 발표한 국민의힘 지지율이다. 대선 과정에서 30%대를 유지한 국민의힘 지지율이 대선 후 20%대로 내려앉았다. 이에 대해 이기홍 동아일보 대기자는 국민의힘을 ‘좀비’로 표현하고 윤석열 청산 작업이 필요하다고 했다. 이 대기자는 <좀비가 되어버린 국민의힘, 다시 태어나려면> 칼럼에서 “절반의 국민을 대변해야할 야당은 좀비 상태가 된 지 오래다. 차라리 소멸되면 처음부터 다시 재건을 할 수 있는데 지역 텃밭에 산소호흡기를 대고 있어 소멸도 안 된다”며 “국힘 재건의 최우선 과제가 ‘윤석열의 완전한 청산’을 통한 단합임은 삼척동자도 안다”고 했다.

▲4일 동아일보 칼럼
▲4일 동아일보 칼럼

이 대기자는 “보수의 자격을 잃은 세력까지 껴안고 갈 수는 없으므로 도려내야 한다… 계엄과 윤 부부를 옹호하고 투표일까지도 윤 청산을 거부했던 옛 지도부와 윤핵관 출신 인사들은 다 청산해야 마땅하다”면서도 탄핵에 반대한 이들까진 청산 대상에 포함해선 안 된다고 했다. 또 이 대기자는 국민의힘이 차기 대권과 관련 없는 인물을 당대표로 지명해야 한다면서 “차기 대권과 무관한 사람이어야 선거에 제 사람 심기를 안 하고 당 재건에만 집중할 수 있으며, 당내 분열에 계파를 불문하고 엄한 채찍을 휘두를 수 있다”고 했다.

박은주 조선일보 부국장은 칼럼 <보수 정권의 死因은 ‘김건희’인가>에서 보수 세력의 참패 원인에 대해 분석해야 한다고 했다. 윤석열 정부와 국민의힘의 가장 큰 리스크로 김건희 여사가 꼽히고 있지만 근본 원인은 보수세력 내부에 있다는 것이다. 박 부국장은 “김건희 여사는 보수의 ‘지뢰밭’이었다. 하지만 지뢰가 왜, 어떻게 폭발했는지는 따져볼 필요가 있다”며 “박근혜 대통령 탄핵 이후 보수는 대권 후보 ‘재생산’ 능력을 상실했다. 눈물을 머금고 ‘신체 포기 각서’를 쓰고 후보 윤석열을 영입했다”고 했다.

▲4일 조선일보 칼럼
▲4일 조선일보 칼럼

박 부국장은 “대통령은 취임 후 독주하며 의사, 군인, 과학자 집단을 적으로 만들고, 나머지 세력은 비평꾼이 됐다. 동료가 부상당해도 자기 양복에 흙탕물 튈 것을 더 걱정하는 이익 연합체는 순식간에 해체됐고, 독주는 ‘계엄 급발진’으로 이어졌다”며 “권력에 대한 성찰과 민주적 절차, 동지애에 대한 공감대를 잃은 보수는 이제 스스로에게 ‘부검의 칼날’을 들이대야 한다. 그래야 일어설 힘이 생긴다”고 밝혔다.

한국갤럽 조사는 지난달 24일부터 26일까지 전국 만 18세 이상 1004명을 대상으로 이뤄졌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p다. 전화조사원 인터뷰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응답률은 13.4%다. 자세한 조사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고하면 된다.

评论

此博客中的热门博文

[인터뷰] 강위원 “250만 당원이 소수 팬덤? 대통령은 뭐하러 국민이 뽑나”

윤석열의 '서초동 권력'이 빚어낸 '대혼돈의 멀티버스'

"전쟁은 안된다. 대북전단 살포를 중단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