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곰한 우리말 어려운 말 쓰는 의사
달곰한 우리말 어려운 말 쓰는 의사 편집자주 욕설과 외계어가 날뛰는 세상. 두런두런 이야기하듯 곱고 바른 우리말을 알리려 합니다. 우리말 이야기에서 따뜻한 위로를 받는 행복한 시간이 되길 바랍니다. 이미지 확대보기 코가 먼저 환절기를 알아챈다는 이가 많다. 코를 중심으로 얼굴 모양을 만드는 뼈 안 공간은 코곁굴이다. 한국일보 자료사진 부비동이 어디인지 물었다. “종로구 부암동은 알겠는데 글쎄…” “경기도 부천 쪽이지? 가본 것 같기도 하고.” 고향이 부산인 후배한테도 물었다. “선배, 제가 서울에서 산 지 30년이 넘었는데도 모르는 동네가 억수로(대단히) 많습니다. 강남 쪽인가 봐요? 거서는(그곳에선) 안 살아봐서요.” 환절기마다 코가 막히고 콧물이 흘러 힘들어하는 친구는 ‘부비동’ 말만 들어도 기분이 나쁘단다. 병원을 서너 군데 다녔지만 쉬운 말로 설명하는 의사는 한 명도 못 만났단다. 어디 이 친구뿐일까. 눈이 뻑뻑해 병원을 찾은 후배는 “맥립종이다. 당장 째고 고름을 짜내지 않으면 실명할 수도 있다”는 의사 말에 덜덜 떨었단다. ‘맥립종’이 ‘다래끼’인 걸 알고 나서야 편안한 마음으로 째고 왔단다. 병원에서 알아듣기 어려운 말을 들으면 환자든 보호자든 겁이 나고 화도 날 게다. 코피를 비출혈, 콧물은 비루, 코 막힘을 비폐색이라고 말하는 이유는 뭘까. 말은 알아듣게 하는 게 중요하다. 사람의 생명을 다루는 의료 분야라면 더욱 그렇다. 부비동(副鼻洞)은 코를 중심으로 얼굴 모양을 이루는 뼈 안의 공간이다. 우리말로 ‘코곁굴’이다. 표준국어대사전은 “머리뼈에 있는 공기 구멍. 위턱굴·이마굴 등으로 얇은 끈끈막에 싸여 있다”고 설명한다. 이 부위에 염증이 생겨 고름이 차면 부비동염, 흔한 말로 축농증이다. 우리말로는 코곁굴염이다. 감기로 병원에 가도 어려운 말들이 날아다닌다. “비말로 인한 감염 가능성이 높으니 마스크를 꼭 착용하세요.” 비말이 뭐냐고 물으니 타액이란다. “침이에요. 기침, 재채기는 물론 말하는 사이 침으로 옮길 수 있으니 마스크를 꼭 쓰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