博文

북, 1호 전투근무태세 명령 후 인민군대는?

“발사단추에 손 얹고 순간, 순간 명령 기다려” 이정섭 기자 기사입력: 2013/03/31 [20:47] 최종편집: ⓒ 자주민보 조선인민군 최고상령부가 지난 26일 전략로켓군을 비롯한 장거리포병군부대와 야전포병군 집단들에게 1호 전투근무태세 명령을 내린 이후 해당 부대들과 조선인민군들은 어떤 상태에 있는지를 알려주는 보도가 나와 주목된다. 조선로동당 기관지인 로동신문은 31일 ‘최후승리의 전주곡은 울렸다.’라는 제하의 기사에서 “나라의 자주권과 최고 존엄 수호를 위하여 전략로켓군부대들과 장거리 포병부대들을 포함한 모든 야전포병군 집단들이 1호 전투근무 태세에 있다.”고 알렸다. 로동신문은 김정은 원수가 최종 서명한 내용을 언급하며 “멸적의 의지가 서릿발 치는 인민군장병들의 눈동자에 모든 과녁이 정확히 조준되어있으며 증오로 피 끓는 병사들의 심장은 이미 발사단추를 누른 상태”라고 밝혀 최고의 격동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 신문은 ‘전쟁이란 곧 전투이다.’라는 소제목에서 “백두산 혁명 강군의 1호 전투근무태세는 우리의 전면대결전이 최후단계에 있으며 조선정전협정의 백지화에 따르는 교전상태가 인차 결속되게 되었다는 것을 말해 준다. 미제와 친미역도들의 숨통이 끊어지는 비참한 몰골이 눈에 선하다.”고 밝혀 모든 준비가 끝났음을 알렸다. 신문은 “우리가 무엇을 가지고 어떤 방법으로 타격하든지 누구도 시비할 권리가 없다. 원수들은 죽음을 기다리면 되는 것이며 세계평화애호인민들은 정의가 승리한 맑고 푸른 하늘아래에서 기를 한껏 펴고 진정한 평화의 새 생활을 누리면 되는 것”이라고 밝혀 승리에 대한 확신을 보였다. 이 매체는 ‘1호 전투근무태세!’라는 소제목에서 “전적으로 미제와 그 추종자들 때문이다. 침략의 격발 기를 먼저 당긴 것은 이른바 3대핵타격수단들을 뻐젓이 가동시킨 적들이다. 선의에도 아량에도 참을성에도 한계가 있다.”며 “우리는 말로 대결하지 않을 것이다. 실제적인 군...

北, 개성공단 폐쇄 경고

일부언론 '달러박스'보도에 반발..정부 "유지입장 변화없다" (전문) 2013년 03월 31일 (일) 00:36:34 조정훈 기자 whoony@tongilnews.com 연이어 강경 목소리를 내는 북측이 이번에는 개성공단을 폐쇄할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에 따르면, 북 '중앙특구개발총국'은 대변인 담화를 통해 "개성공업지구의 운명이 경각에 달하였다는 것을 똑바로 알아야 한다"고 30일 발표했다. '중앙특구개발총국'은 서해지구 남북 군통신선 단절을 언급하며 "이로하여 남측 인원들의 개성공업지구출입도 극히 위태롭게 진행되고 있다. 현재 개성공업지구의 운명은 한치앞도 내다볼 수 없는 형편"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군 통신선 단절과 관련한 남측 일부 언론 보도를 두고"괴뢰어용언론과 매문가들이 앞뒤도 가리지 않고 우리에 대한 모략나발을 불어대는 것이야 말로 초보적인 사태판별능력마저 상실한 천치들의 가소롭기 그지없는 망발질"이라고 비판했다. 일부 언론들은 북측의 서해지구 군 통신선 단절에도 개성공단이 운영되는 것을 두고, '달러박스 노터치', '북한의 두 얼굴' 이라고 보도한 바 있다. 담화는 "조선반도정세가 일촉즉발의 전쟁전야에 처해있는 엄혹한 정황에서 개성공업지구가 유지되고 있는 것 자체가 극히 비정상적인 일"이라며 "현실은 당장 남측인원들의 개성공업지구출입을 차단하고 공업지구를 폐쇄하여도 괴뢰역적패당이 할 말이 없게 되였다"고 경고했다. 이어 "그렇지만 우리는 개성공업지구사업에 남반부 중소기업들의 생계가 달려있고 공업지구를 당장 폐쇄하면 그들의 기업이 파산되고 실업자로 전락될 처지를 고려하여 극력 자제하고 있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리고 "사실 개성공업지구에서 덕을 보고 있는 것은 우리가 아니라 괴뢰패당...

미국은 이미졌다.

전쟁 발발시 미국의 대도시 초토화 이창기 기자 기사입력: 2013/03/29 [23:47] 최종편집: ⓒ 자주민보 ‘사실상 전쟁은 이미 시작되었다’란 제목의 기사를 쓴지 한달 정도가 지난 지금 이미 승패가 갈린 것 같다. 결국 미국이 이미졌다고 판단 된다. 북은 1월 24일 미국과의 전면 대결전을 선언한 이후 3차 핵시험을 포함하여 종합 군사훈련, 대대적인 전투기 공격 훈련, 무인 전투기 훈련, 미사일 요격 훈련 등 막대한 군사력을 동원하여 미국을 압박하였다. 아마 이에 사용 된 포탄만 해도 엄청날 것이며 금액로도 천문학적인 액수가 들었을 것이다. 미국도 키리졸브- 독수리 훈련으로 북과 물러 설수 없는 한판 대결전을 펴고 있다. 미국은 물론 영국, 호주 덴마크, 등 추종국 군대까지 동원하고 있다. 동원한 무기도 핵잠수함에 핵미사일 32발을 장착 할 수 있는 B-52 폭격기 까지 가공할 수준이다. 이 두 방대한 무력이 한반도와 그 주변 해역에서 매일 위협사격으로 불을 뿜고 있다. 실제 상대를 타격 하지는 않고 있지만 사실상 물러 설 수 없는 운명을 건 대결전을 전하고 있는 것이다. 급기야 북 조선인민군최고사령부가 성명을 통해 ‘1호전투근무태세진입’을 발표하여 대륙간 탄도미사일로 괌, 화와이 등 미군 거점과 미국 본토까지 공격할 것이라고 서릿발 같은 폭탄선언을 보도하였다. 그러자 미국은 북을 향해 미 본토 공격 위협을 중단하라며 그럴수록 북한만 더욱 고립 될 것이라고 반발했다. 하지만 당황한 눈치가 역력하다. 북이 저렇게 까지 나올 줄은 몰랐다는 미국 대변인들의 표정이었다. 미국이 먼저 꼬리를 사리고 있는 것이다. 정말 자신이 있다면 고립을 경고할 것이 아니라 항공모함이라도 끌고 가서 북을 압박해야 할 상황이기 때문이다. 예전엔 그랬었다. 사실 미국은 이번 대결전 내내 북에 계속 쫒기는 입장이었고 수세적인 태도로 일관해 왔다. 북의 강한 경고에 키리졸브-독수리 훈련에 동원하겠다던 항공모함 투입을 취소한 것이 단적...

“정전협정 백지화는 전쟁상태를 끝장내기 위한 정의의 대결단”

조선중앙통신사, 정전협정 백지화 결단의 정당성을 밝힌 보도 발표 (전문) 2013년 03월 25일 (월) 17:19:45 이계환 기자 khlee@tongilnews.com “조선인민군 최고사령부가 조국과 민족의 운명을 판가리하는 조미(북.미)대결전의 가장 관건적인 시각에 정전협정을 백지화하기로 한 것은 날이 갈수록 가증되는 미국의 대조선 압살책동에 대처한 정의의 자위적 대응이며 조국통일과 지역의 평화와 안정을 추동하는 역사적인 대결단으로 된다.” 25일발에 따르면, 조선중앙통신사는 24일 ‘정전협정백지화는 조선반도의 전쟁상태를 끝장내기 위한 정의의 대결단’이라는 제목의 보도에서 이같이 정전협정 백지화 결단의 정당성을 주장했다. 보도는 “장장 60년 정전협정을 대조선 적대시정책의 공간으로 악용하여온 미국의 범죄행위로 하여 오늘날 조선반도는 세계 최대의 열점지역으로, 일촉즉발의 전쟁터로 화하였다”면서 “조선반도에 조성된 유례없이 첨예하고 엄중한 정치군사적 비상사태는 우리 공화국으로 하여금 이 땅에서 세기를 이어온 전쟁도 평화도 아닌 지정학적 참사를 하루빨리 끝장내고 민족적 자주권과 지역의 안정을 담보하기 위한 중대결단을 내릴 것을 촉구하였다”면서 다음과 같이 세 가지로 그 정당성을 주장했다. 첫째, 보도는 “정전협정 백지화 결단은 미국에 의해 유명무실해진 협정에 우리가 더 이상 구애될 필요가 없게 된 현실로부터 불가피하게 취한 자위적 대응조치”라고 주장했다. 보도는 1953년 정전협정이 체결될 때 모든 관심과 기대는 정전협정 제60항에 집중되었는데, 그러나 “미국은 정전협정에 서명한 잉크도 마르기전인 1953년 8월 8일 이미 짜놓은 각본에 따라 남조선과 ‘호상방위조약’을 체결하고 미군의 남조선주둔을 합법화함으로써 모든 외국군대를 철거시킬 데 대한 제60항을 무효화하였다”고 비난했다. 즉, “제60항을 이행하는 것은 조선에서 모든 외국군대를 철수시키고 전쟁의 화근을 제거하며 조선문제를 평화적으로 해결함으로...

미국군 핵잠수함 출동과 인민군 선제타격연습

한호석의 진보담론 (253) 2013년 03월 25일 (월) 07:39:44 한호서 tongil@tongilnews.com 한호석 (통일학연구소 소장) 핵타격으로 북측 주민 65만 명을 무차별 학살하려던 미국의 만행 1969년 4월 15일 오후 2시가 조금 지난 시각, 전라북도 군산에 있는 미국 공군기지에 순환배치된 F-4 전폭기 조종사 브루스 찰스(Bruce Charles)는 지휘관의 긴급호출을 받고 달려갔다. 군산 공군기지를 담당한 대령급 지휘관은 브루스 찰스에게 인민군 공군기지를 공습할 출격준비를 갖추라는 상부 명령을 전달하였다. 당시 브루스 찰스는 미국의 핵전쟁계획인 ‘단일통합작전계획(Single Integrated Operational Plan, SIOP)’의 실전연습에 F-4 전폭기를 몰고 참가하기 위해 군산 공군기지에서 대기 중이었는데, 폭격연습이 아니라 인민군 공군기지를 실제로 폭격하라니, 이건 무슨 소린가? 미국 군부가 브루스 찰스에게 인민군 공군기지를 공습할 출격준비를 갖추라는 긴급명령을 내리기 약 1시간 전인 오후 1시 22분, 미국 해군 정찰기 EC-121M 한 대가 정찰비행을 하던 중, 함경북도 청진시로부터 167km 떨어진 동해 상공에서 인민군 전투기가 쏜 공대공 미사일을 맞고 격추되어 탑승자 31명이 몰살당했다. 미국 군부는 그에 대한 보복으로 인민군 공군기지를 공습하려는 것이었다. 브루스 찰스가 출격준비를 갖춘 F-4 전폭기에 실리는 타격수단은 B61 열핵탄이라고 부르는 수소폭탄이었다. 미국의 핵전쟁계획에 따르면, 전시에 F-4 전폭기의 임무는 B61 열핵탄을 탑재하고 적진에 들어가 전략핵공습을 수행하는 것이었다. B61 열핵탄의 폭발력은 무려 330킬로톤이나 된다. 만일 330킬로톤급 열핵탄 한 발이 터진다면, 1945년 8월 6일 피폭 당시의 히로시마(廣島)만한 도시 20개가 파괴되는 상상을 초월한 핵참화가 일어나게 된다. 그런데 미국 군부는 그런 열핵탄으로 인민군...

북, 군사분계선. 침략자 불길에 소멸 될 것

“북침 핵전쟁연습의 도발적 성격과 위험성” 규탄 이정섭 기자 기사입력: 2013/03/24 [11:07] 최종편집: ⓒ 자주민보 조선은 미국이 끝끝내 전쟁의 도화선에 불을 지른다면 활화산처럼 타오르게 될 정의의 불길에 타 없어 질 것은 침략자들과 저주로운 군사분계선뿐이라고 재차 주장하고 나섰다. 조선로동당 기관지인 로동신문은 24일 ‘반공화국 핵전쟁연습의 도발적 성격과 위험성’이라는 기사를 통해 “평화냐 전쟁이냐? 수십억인류의 생사를 판가름하는 시대의 엄숙한 물음이 조선반도에 울리고 있다.”며 “우리 공화국의 합법적인 위성발사를 두고, 자위적인 핵시험을 두고 유엔마당에서 그처럼 대결광기를 부르짖던 적대세력들이 오늘은 이곳에서 짙은 화약내를 풍기고 있다.”며 이 같이 주장했다. 로동신문 기사는 한미합동군사훈련이 키리졸브/ 독수리 전쟁연습을 구체적으로 소개하면서 이를 북침 핵전쟁 연습을 규정한 뒤 “적아간 극도에 달하고 있는 이 땅에서 아직까지 전쟁의 불꽃이 튀지 않는 것은 전적으로 조선반도와 지역의 평화와 안정을 수호하기 위하여 최대한의 자제력을 발휘해온 우리 공화국정부의 노력에 있다.”며 북의 인내력에 의해 평화가 보장 되고 있음을 강조했다. 이 신문 기사는 “그러나 대결에 환장하고 전쟁열에 들뜬 나머지 유엔거수기를 동원하여 반공화국추가《제재결의》를 조작해낸 미국은 이와 때를 같이하여 괴뢰들과 함께 대규모북침핵전쟁의 도화선에 불을 달려고 더욱 발광하고 있다.”며 “지난 시기 열점지역들에서 강행된 군사연습들이 실전으로 넘어간 실례들은 허다하다. 미제와 남조선괴뢰 호전광들이 《연례》의 감투를 씌운 합동군사연습을 실전으로 이행하지 않는다는 담보는 그 어디에도 없다.”고 비난했다. 신문기사는 “자료에 의하면 지난 1일부터 4월 30일까지 감행되는 《독수리》합동군사연습에는 해외주둔 미군 1만여명을 포함한 미제침략군과 수십만명의 괴뢰군병력이 동원되며 3월 11일부터 21일까지 감행된 《키 리졸브》합동군사연습에는 미제침략군 3,500...

북한 3차 핵 실험 이후 한반도 평화구상

미주 통일전략연구협의회/한반도 중립화통일협의회 공동기획-제21회 통일전략포럼 2013년 03월 22일 (금) 14:55:40 통일전략연구협의회 tongil@tongilnews.com 통일전략연구협의회 제공 다음 기고는 미주 통일전략연구협의회(회장 곽태환)와 서울 소재 한반도중립화통일협의회(회장 강종일)가 공동주최로 3월 19일 오후 미국 로스앤젤레스 소재 제이제이 그랜드호텔(JJ Grand Hotel) 2층 코스모스(Cosmos)룸에서 개최된 제21회 통일전략포럼 ‘북한 3차 핵실험 이후 한반도 평화구상’의 요약본이다. 이날 포럼은 곽태환 교수의 사회로 다음과 같은 발제 순서로 진행되었다. 발제자의 요약문과 종합토론의 요약은 이주영 박사(USC post-doc fellow & 통일전략연구협의회 수석연구위원)가 정리했다. 이 토론회를 통일전략연구협의회의 도움을 받아 지상 중계한다. 한편, 통일전략연구협의회는 중화평화론(中化平和論)에 입각하여 이념을 초월하여 한반도통일전략을 연구하는 학술단체로, 연구 프로젝트로 한반도비핵화 실현, 평화체제 구축과 통일미래비전에 관해 연구하고 포럼을 개최하고 있다. / 편집자 주 발제 순서 1. 양은식 박사 ‘북한의 핵보유와 북미 평화협정의 논리’ 2. 안태형 박사 ‘3차 핵실험 이후 북미관계’ 3. 이원영 위원 ‘한반도의 갈등: 원인과 처방’ 4. 곽태환 교수 ‘한반도 평화구축의 새로운 구상’ 금년 7월27일은 한국 정전협정체결 60주년을 맞이합니다. 한반도에는 법적으로 평화협정이 체결되지 않아 기술적으로 전쟁상태였는데 북한이 일방적으로 정전협정을 무효화 하여 지금은 교전상태이고 한반도위기상황이 전쟁일보 전 분위기입니다. 북한이 제3차 핵 실험을 강행하여 유엔 안보리에서 강력한 대북제재결의 2094호가 만장 일치로 채택되어 한반도에서 전쟁국면을 맞게 되어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에 새로운 변수로 등장하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다시 한반도에 대화국면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