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깽판’ 벌이는 극우단체 ‘혐중시위’에 속타는 명동 상인들

 

“보자마자 눈 돌렸다”는 관광객들...관광 산업 타격 우려도

명동 상인들, 경찰에 ‘집회금지 요청’하기도

  • 김백겸 기자 kbg@vop.co.kr
    명동 거리 일대(자료사진) ⓒ뉴시스

    "'그 사람들'이 지나갈 땐 장사가 안되지. 외국인들이 딱 길 저기 안쪽으로 피해있는데 뭘..."

    11일 명동 거리에서 10년이 넘게 노점상을 운영했다는 한 자영업자는 명동에서 벌어지고 있는 '혐중 시위'에 대해 묻자 쓴 웃음을 지었다.

    최근 서울 명동 일대에서 벌어지고 있는 극우 단체의 '혐중시위'가 외국인 관광객과 국가 이미지에 악영향을 주고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특히 중국인 관광객의 유입이 회복세를 보이면서 명동 일대가 활력을 찾아가는 분위기에 찬물을 끼얹는 게 아닐까 자영업자들은 우려하고 있다.

    주한중국대사관이 위치한 명동 일대에서는 올해 초부터 중국을 비판하는 혐중 시위가 계속되고 있다.

    극우단체들은 최근까지 오성홍기를 찢거나 불태우는 퍼포먼스를 벌이며 점점 과격한 행동을 보이고 있다. 여기에서 그치지 않고 명동 한복판을 행진하며 확성기를 통해 자극적인 음악과 혐오 구호를 외치면서 외국인 관광객들에게 불쾌감을 주고 있다.

    명동에서 노점을 운영하는 한 자영업자는 혐중시위 행진을 두고 "최근에는 명동 안까지 들어오지는 않는다"면서도 "그전에는 깃발 들고, 외국인들에게 소리 지르고, 중국을 욕하고 다녔다"고 말했다.

    주한중국대사관 인근에서 13년 동안 테이크아웃 커피전문점을 운영해온 한 자영업자는 소음으로 인한 스트레스를 호소하기도 했다. 그는 "너무 시끄러워서 짜증나고 불편하다. 너무 자주 (시위를) 한다. 소음이 너무 커서 스트레스를 받을 지경"이라고 말했다.

    이어 "요즘 외국인 관광객들도 늘어나고 있는데, 외국인한테 창피한 모습이라는 생각도 든다"고 인상을 찌푸렸다.

    실제로 명동을 찾은 중국인 관광객 사이에서는 시위 현장을 만나고 두려움을 호소하기도 한다. 중국 SNS인 웨이보에서 한 중국 네티즌은 "명동에서 쇼핑을 하다가 사람들이 퍼레이드를 하는 소리를 듣고 무슨 퍼레이드를 하는 건지 보려고 나갔는데 '차이나 아웃'을 외치고 있더라"라면서 "바로 눈을 돌려 모른 척했다"고 당시 상황을 전했다.

    이 같은 혐오 시위가 점차 회복세를 보이는 관광 산업에 자칫 악영향을 줄 수도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한국관광공사에 따르면 2025년 1~4월 동안 방한 외국인 관광객 수는 총 558만명으로,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동기 대비 1.8% 증가하면서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이 중 중국인 관광객은 157만명으로, 전체의 약 28%를 차지했다. 국적별 방문객 중 가장 큰 비중이다. 이달말부터 중국인 단체 관광객에 대한 무비자 입국 정책이 시행되고, K-pop 등 한국 문화가 인기를 얻으면서 하반기에는 더 큰 증가세가 예상된다.

    보수정치세력 위해 만들어진 '혐오'...국민 감정과 달라


    극우단체들의 혐중 시위는 지난 탄핵 심판 과정에서 윤석열 전 대통령이 근거 없는 '중국 선거 개입 음모론'을 내세우면서 본격화됐다. 특히 김민전 전 국민의힘 최고위원 등 보수정치인들이 나서서 혐중 감정을 부추기기도 했다. 극우단체들의 혐중 감정은 보수세력의 정치적 이익을 위해 만들어진 혐오 감정인 셈이다.

    중국의 '대북공정' 등으로 인한 나쁜 이미지가 저변에 깔려 있는 탓이라는 지적도 나오지만, 한국인의 대중 인식에도 긍정적인 변화가 감지된다. '한국리서치'가 지난 2월 발표한 '대중인식조사'에 따르면 중국이 남북통일과 안보·경제에 위협이 된다는 인식이 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 하락했다. 전국 남녀, 1,000명에게 중국이 한국의 안보에 주는 영향을 물은 결과, 중국이 위협이 된다는 대답은 60%로 나타났다. 지난 2023년(76%)과 비교하면 16%p(포인트) 감소한 수치다. 남북통일, 경제에 위협이 된다는 대답도 각각 12%p, 20%p 떨어졌다.

    반면 중국이 경제에 도움이 된다는 인식은 33%로, 2023년 16%에 비해 두배 이상 늘어났다. 안보에 도움이 된다는 인식 또한 2023년에 비해 10%p 늘어났다. 극우단체의 혐중 시위가 한국 사회의 대중감정을 반영한 것이 아니라는 방증이다.

    지난 2월 27일 서울 중구 명동 주한 중국대사관 인근에서 자유와 정의를 실천하는 교수모임 및 친윤 시민들이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 인용을 반대하고 있다. 2025.02.27. ⓒ뉴시스

    이 대통령 "혐중시위 '깽판'"...경찰, 강력제한 조치


    최근 정부는 명동 일대 혐중 시위에 대해 강도 높은 제한 조치를 추진할 방침이다.

    이재명 대통령도 공식적으로 혐중 시위를 문제로 지적하고 대책 마련을 지시했다. 이 대통령은 전날 국무회의에서 해당 시위를 두고 "표현의 자유가 아니라 깽판"이라고 강하게 비판하면서, "지금은 관광객을 늘려야 하는데 특정 국가 관광객을 모욕하는 집회가 벌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남대문경찰서는 시위 주최 측에 ‘마찰 유발 행위 금지’ 등의 제한 통고를 검토 중이며, 욕설·폭행 등으로 외교 사절이나 관광객과 마찰을 유발할 경우 현장 해산 또는 추후 집회 금지 조치를 취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반복 위반 시에는 형사 처벌도 가능하다는 입장이다.

    명동의 자영업자들도 행동에 나섰다. 경찰에 따르면 11일 오전 명동관광특구협의회가 "명동 일대 이면도로에서 시위를 제한해달라"는 취지의 공문을 남대문경찰서에 제출했다.

    협의회는 폭력적인 혐중 시위가 공공의 안전을 심각하게 위협할 우려가 있어 '집회 및 시위에 관한 법률'(집시법)이 정한 금지 조항에 해당한다고 주장했다. 협의회는 명동복지회와 명동상인회 등과 함께 업무방해 등 민·형사상 대응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공문을 접수한 경찰은 이를 참고해 주최 측을 상대로 '마찰 유발 행위 금지' 등의 제한 통고를 검토 중이다.

    “ 김백겸 기자 ” 응원하기
  •  
  • 발행 2025-09-11 17:20:31
  •  
  • 수정 2025-09-11 18:1


评论

此博客中的热门博文

윤석열의 '서초동 권력'이 빚어낸 '대혼돈의 멀티버스'

[인터뷰] 강위원 “250만 당원이 소수 팬덤? 대통령은 뭐하러 국민이 뽑나”

"전쟁은 안된다. 대북전단 살포를 중단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