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4차 조선 전쟁이 일어날 수도 있다
[전쟁 국가 미국 강연] <프레시안>박인규 이사장·김민웅 경희대학교 교수 이재호 기자 2017.11.28 07:40:18 동아시아를 두고 미국과 중국의 패권이 각축을 벌이고 있는 지금, 한국은 어떻게 이 난관을 극복해야 할까? 언론 협동조합 <프레시안> 박인규 이사장은 있는 동북아 갈등의 최대 현안인 미국과 북한 관계에 주목하면서, 있는 그대로의 미국과 북한을 인식하는 것이 우선돼야 할 과제라고 강조했다. 24일 <프레시안> 창간 16주년 기념으로 서울 정동 프란치스코 교육회관에서 열린 '전쟁 국가 미국' 강연에서 박인규 이사장은 2017년이 근대 이후 한국에 찾아 온 세 번째 전환기라면서,이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변화하는 현실을 제대로 인식하고 있는지 먼저 따져봐야 한다고 지적했다. "19세기 중반 서양 세력이 동아시아로 들어올 때가 첫 번째 전환기였다. 중국은 아편전쟁에서 패하면서 100년의 치욕을 당했다. 일본은 미국에 개항을 강요받았지만 메이지 유신으로 서구 제국의 길을 따랐고 한국은 일본의 식민지가 됐다. 두 번째 전환기는 1945년 해방이다. 이후 여전히 우리는 전쟁 상태에 처해있다. 1945년 동아시아의 주인이 일본에서 미국으로 바뀌었지만 제대로 대응을 못했다. 그리고 2017년이 세 번째 전환기인데 지금은 세계의 판이 바뀌고 있다. 미국이 쇠락하고 중국이 뜨고 있는 상황이다. 미국은 2003년 이라크 전쟁이라는 소위 '군사 모험'이 실패하면서 전 세계적으로 도덕적‧군사적 권위가 떨어졌다. 이후 2008년 금융위기로 경제 권위가 추락했고, 2016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당선으로 정치, 즉 민주주의마저 권위를 잃었다." 그런데 이 와중에 트럼프 대통령은 세계 패권국가로서의 역할도 하지 않고 오직 '약탈자'적인 면모만 보이려 하고 있다는게 박 이사장의 분석이다. 그는 이러한 미국의 진짜 모습이 제대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