博文

흰고래와 외뿔고래 사람처럼 폐경 한다

图片
흰고래와 외뿔고래 사람처럼 폐경 한다 보내기 조홍섭   2018. 08. 28 조회수  1271  추천수  0 범고래, 들쇠고래 이어 확인…사람 포함 5종에 진화 자손과 경쟁 피해 생식 중단하고 손주 돕는 게 이득 » 엄니가 기다랗게 튀어나온 외뿔고래는 흰고래와 함께 북극해 주변에 서식하는 중형 고래이다. 보통 5∼10마리의 집단을 이루어 살지마나 여름철엔 500마리 이상의 큰 무리를 이루기도 한다. 미해양대기국(NOAA), 위키미디어 코먼스 제공. 아직 생식이 가능한 나이에 폐경을 하는 인간과 일부 고래의 사례는 진화생물학 최대의 미스터리이다(관련 기사▶ 사람과 범고래는 왜 중년에 폐경을 할까? ). 이처럼 자신의 생식을 중단하고 수십 년 동안 자손이 자라는 것을 돕는 고래로는 이제까지 범고래와 들쇠고래가 확인됐다(흑범고래도 그렇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여기에 흰고래와 외뿔고래 등 2종이 추가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샘 엘리스 영국 엑시터대 박사 등 영국 연구자들은 27일 발행된 과학저널 ‘사이언티픽 리포트’에 실린 논문에서 이런 사실을 밝혔다. 이번 연구로 폐경은 이빨고래 무리에서 적어도 3번 독립적으로 진화했음을 보여준다고 논문은 밝혔다(흰고래와 외뿔고래는 유전적으로 가까워 이들의 공통조상에서 폐경이 진화했을 수 있다). » 흰고래(위)와 외뿔고래 모습의 비교. 유전적으로 가까우며 모두 북극해에 산다. A. 토르붐이 1920년 그린 그림이다. 위키미디어 코먼스 제공. 폐경을 하는 것으로 밝혀진 고래 4종은 모두 수염고래와 대조적으로 원뿔형 이로 사냥하는 이빨고래 종류이며 고도의 사회성을 보인다는 공통점이 있다. 연구자들은 14종의 죽은 고래 표본을 조사한 결과 나이 든 흰고래와 외뿔고래 암컷에서 활동이 중단된 난소를 확인해 이런 결론을 내렸다고 밝혔다. 가장 먼저 사람 이외의 폐경이 발견된 범고래에서는 지난 40여년 동안 폐경이 진화한 다양...

중국인들, 북 들락날락 “제재만 풀리면…” 몸풀기 한창

图片
[평화원정대] 중국인들, 북 들락날락 “제재만 풀리면…” 몸풀기 한창 등록 :2018-08-28 01:22수정 :2018-08-28 09:35 평화원정대-희망에서 널문까지 (18) 북-중 접경지대 ‘6개의 풍경’ [인터랙티브] 바로가기▶ <한겨레 창간 30돌 특별기획-평화원정대> 북한 배경으로 한복 빌려 입고… 투먼 북-중 접경지역에서 한복을 빌려 입고 기념사진 을 찍는 중국인 관광객들. 투먼/김봉규 선임기자 bong9@hani.co.kr 평화는 아득하다가도 불쑥 눈앞에 다가와 있는 듯도 했고, 또 시나브로 멀어지다 신기루처럼 흔들리는 듯도 했다. 지난 4월 초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여정을 시작한 <한겨레> 평화원정대는 불과 몇주 뒤 판문점 남북 정상회담 소식을 듣고 기쁨의 한편으로 조바심을 느꼈다. 평화원정대가 가야 할 거리는 아직 까마득해서, 북-중 접경지역에 이르기 전에라도 남과 북이 자유왕래를 하게 될지도 모를 일이었다. 기우였다. 8월 중순 이후, 평화원정대는 내내 북-중 접경지역 일대를 오갔다. 손에 닿을 듯한 강 너머를 바라보며 두만강과 압록강 물길 옆을 동-서로 길게 따라가는 수밖에 없었다. 가까우나 가닿지 못하는 한반도 평화에 관한 은유처럼 보였다. #1. 북한 돈이라는 ‘상품’ 빳빳한 ‘북한 돈 기념품’ 내민 중국 상인 “견본 2장 빼곤 진짜” 북 중앙은행 권위 따윈 관심밖 “한국 돈도 받아요. 9천원.” 어색한 억양의 우리말이 관광객을 부른다. 두만강 연안 도시 중국 지린(길림)성 투먼(도문)에서 만난 상인은 북한 돈 수집책을 펼쳐 보인다. 표지에 ‘조선돈’이라고 적힌 책엔 북한 지도자의 초상이 있는 50원짜리 우표가 3장, 5000원, 500원, 200원 등 모두 6천원어치가 좀 넘는 빳빳한 새 지폐가 들어있다. 진짜 돈일까? 상인은 ‘견본’이라고 적힌 2장 말고는 모두 진짜라고 했다. 지폐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중앙은행 표시와 일련...

문재인 정부 공격하는 보수진영의 근거는 ‘가짜뉴스’였다

图片
언론이 ‘가짜뉴스’를 계속 생산한다면, 처벌과 책임도 무겁게 져야 할 것 임병도 | 2018-08-27 08:55:55              지난 8월 24일 <한국경제>는  ‘최저임금 부담 식당서 해고된 50대 여성 숨져’ 라는 제목의 기사를 온라인으로 발행했습니다. <한국경제> 조재길 기자는 기사 서두에 ‘급격한 최저임금 인상으로 일자리를 잃은 50대 여성이 최근 스스로 목숨을 끊은 것으로 확인됐다.’라며 50대 여성의 사망 원인이 최저임금 인상 때문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조 기자는 기사 말미에 ‘정부가 최저임금을 인상해 식당, 편의점, 주유소 등에서는 최저임금 적용을 받는 종업원을 해고한다’ 라며 문재인 정부의 책임이라는 점을 강조하기도 했습니다. <한국경제>의 이 기사는 온라인으로 보도되자마자 인터넷에서 큰 반향을 일으켰고, 특히 보수 진영에서는 문재인 정부를 공격하는 근거가 됐습니다. 강용석, 최저임금 인상에 서민경제 파탄 ▲강용석 변호사와 김세의 전 MBC 기자가 제작한 유튜브 영상에 등장한 기사. <한국경제>의 기사를 인용한 <정규재TV>의 기사를 캡처했다. ⓒ유튜브 화면 캡처 강용석 변호사와 김세의 전 MBC 기자는  ‘최저임금 인상에 서민경제 파탄’ 이라는 제목의 동영상을 제작해 유튜브에 올렸습니다. 이 동영상에는 최저임금 때문에 서민 경제가 파탄 났다는 근거로 여러 기사를 캡처한 사진이 등장합니다.  ‘최저임금 부담 식당서 해고된 50대 여성, 스스로 목숨 끊어’ 라는 기사도 등장합니다. 다만, 동영상에 등장한 기사는 <한국경제>의 기사가 아니라 한국경제신문을 인용한 <정규재TV>의 기사였습니다. 문재인 정부를 비판하는 기사가 나오면 보수 진영 언론에서 이를 인용하고, 보수 성향의 유튜브 영상 등으로 확산...

박경서 회장, “연내에 한번 더 이산가족 상봉”

图片
“잘 되면 10월말쯤”, 구체적인 날짜 등은 국장급 실무회담에서 금강산=공동취재단/이광길 기자  |   gklee68@tongilnews.com 승인  2018.08.26  12:53:32     ▲ 지난 24일 환영만찬에서 만찬사를 전하는 박경서 회장. [사진-공동취재단] 박경서 대한적십자사(한적) 회장이 25일 단체상봉 직후 기자들과 만나 “박용일 북측 단장과 (이번) 21차 상봉 행사와 같은 방식의 이산가족 상봉행사를 올해 안에 한 번 더 하기로 협의했다”라고 밝혔다. 이번 이산가족상봉행사의 남측 단장인 박 회장은 북측 단장인 박용일 조국평화통일위원회(조평통) 부위원장과 만나 이같이 공감대를 형성했다고 전했다. “대강 현재와 비슷한 규모로 한다”면서 “잘 되면 10월 말쯤”이라고 내다봤다. 구체적인 날짜 등은 국장급 실무회담에서 논의하기로 했다고 덧붙였다.     ▲ 지나간 날을 담은 사진을 같이 보는 북측 송창호(78) 씨 가족. [사진-공동취재단]     ▲ 기념사진을 찍는 북측 임기산(87) 씨 가족. [사진-공동취재단] 박 회장은 생사확인, 정례적 만남, 화상상봉, 고향방문 추진 등에 대해서도 폭넓은 의견을 교환했다고 전했다. 또 “제반 여건이 허락된다면 고향방문단을 빠른 시일 내에 하자는데 긍정적인 협의를 진행했다”고 했으나, 북측 박 단장은 원론적인 수준의 반응을 보인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24일 환영만찬에서, 박경서 회장은 “아직도 헤어진 가족들이 생사마저도 모른 채 이산의 한을 품고 남측에서만 매년 3천~4천여 명의 이산가족들이 운명하고 있다”면서 “살아 있는 동안에 가족의 생사를 확인하고 만나고 싶을 때 언제든 자유롭게 만나고 추억이 깃든 고향에 돌아가 가족과 함께 여생을 보낼 수 있도록 해...

중국의 핵무력, 일본의 핵야망, 미국의 철군정책

图片
[개벽예감 312] 중국의 핵무력, 일본의 핵야망, 미국의 철군정책 한호석(통일학연구소 소장)  기사입력: 2018/08/27 [08:51]  최종편집: ⓒ 자주시보 <차례> 1. 중국은 미국과 맞선 핵대결에서 어떻게 이겼나?  2. 동아시아 평화를 위협하는 전범국의 핵야망  3. 고용간첩 도미탈주극으로 파탄된 대만의 핵개발사업 4. 닉슨의 동아시아철군정책과 저우언라이의 오판 1. 중국은 미국과 맞선 핵대결에서 어떻게 이겼나? 1964년 4월 14일 미국 정책기획협의회(Policy Planning Council) 의장 월트 로스토우(Walt W. Rostow)가 작성하여 맥조오지 번디(McGeorge Bundy) 국가안보보좌관에게 1964년 4월 22일에 보낸 극비문서가 기밀해제되어 세상에 공개되었다. 그 문서에는 ‘중국 공산주의 핵시설들에 대해 가능한 기본행동의 탐색(An Exploration of the Possible Bases for Action Against the Chinese Communist Nuclear Facilities)’이라는 제목이 붙어있다. 극비문서에 따르면, 1961년 1월에 출범한 케네디 행정부와 1963년 11월에 출범한 존슨 행정부는 중국의 핵무기개발을 저지하기 위해 중국의 핵시설들을 예방타격(preventive strike)으로 파괴하는 공습계획을 검토해왔는데, 린든 존슨(Lyndon B. Johnson) 대통령은 미국이 중국의 핵시설들을 공습할 경우 중국이 대만을 공격할 것으로 우려한 나머지, 공습계획 대신에 특수부대를 중국에 침투시키는 급변사태계획들(contingency plans)을 준비하라는 지시를 중앙정보국(CIA)과 다른 관련부서들에 내렸다고 한다. 하지만 미국은 중국의 핵시설들을 파괴하려는 각종 작전계획을 검토했으면서도 그 가운데 어느 것도 실행하지 못했다.  왜 실행하지 못했을까? 중국에게 섣부른 ...

트럼프, 폼페이오 방북 ‘전격 취소’ 미스터리... 백악관 막후에서 무슨 일이?

图片
핵심 정책결정권자 모두 백악관 불려들어가 통보받아... 이번 ‘뒤집기’ 카드는 실패 가능성 농후 김원식 전문기자 발행  2018-08-26 14:51:21 수정  2018-08-26 15:15:24 이 기사는  177 번 공유됐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4일(현지 시간)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 대북정책 특별대표에 지명된 스티븐 리건, 성 김 필리핀주재 대사, 앤드류 김 중앙정보국(CIA) 코리아미션센터장 등을 백악관으로 불려 대북 회의를 하고 있는 모습 ⓒ댄 스커비노 백악관 소셜미디어 국장 트위터 “하룻밤 지나고 나니 트럼프 대통령이 갑자기 바뀌었다. 정치뿐만 아니라, 외교관계도 자신의 동물적인 감각을 자신하는 그에게 누군가가 보고나 전화를 한 것이 분명하다” 지난 24일(이하 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의 방북을 하루 만에 전격 취소한 배경에 관해 워싱턴의 한 소식통이 전한 말이다. 누가 트럼프 대통령의 마음을 바꾸게 했는지는 아직도 미스터리지만, 그날 오전 백악관이 급박하게 돌아간 것은 분명하다. 24일, 오전 트럼프 대통령의 호출을 받은 폼페이오 국무장관을 비롯해 새로 대북정책 특별대표에 지명된 스티븐 리건, 그동안 대북 실무회담 총책을 맡았던 성 김 필리핀주재 대사, 그리고 북한과 막후 실무협상을 주도하는 앤드류 김 중앙정보국(CIA) 코리아미션센터장 등이 모두 백악관으로 불려들어갔다. 댄 스커비노 백악관 소셜미디어 국장이 25일, 공개한 그날 백악관 회의 사진을 보면, 마이크 펜스 부통령은 물론 존 켈리 비서실장을 포함해 백악관 대변인 등 주요 참모진도 모두 배석했다. 여기서 트럼프 대통령은 종이 한 장을 들고 전격 방북 취소를 거의 통보한 셈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4일(현지 시간)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 대북정책 특별대표에 지명된 스티븐 리건, 성 김 필리핀주재 대사, 앤드류 김 중앙정보국(C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