博文

얼레리꼴레리

图片
  최태호의 맛있는 우리말 [107] 얼레리꼴레리 최태호  필진페이지 + 입력 2023-11-29 06:30:00   ▲ 최태호 중부대 한국어학과 교수·한국어문학회 회장 예전에 개그맨 중에  “ 얼레리꼴레리 ” 라고 하면서 희한하게 몸을 틀면서 웃기는 사람이 있었다 .  그 이후로  ‘ 얼레리꼴레리 ’ 라는 말이 상당히 유행한 적이 있었다 .  아이들은 그 의미도 모르면서 개그 흉내를 내느라 다리를 흔들면서 우스꽝스런 동작을 보여 주곤 했다 .  과거에 한 번  ‘ 어르다 ’ 라는 말에 대해 기술한 것과 같이 이 말은  19 금에 해당한다 .   하기야  19 금이라는 말도 요즘에 등장한 것이기는 하지만 ,  이에 해당하는 어휘는 가려서 써야 한다는 뜻에서 다시 한 번 강조하려고 한다 .  사전에는  ‘ 알나리깔라리의 비표준어 ’ 라고 나와 있고 ,  알라리깔나리는  ‘ 아이들이 남을 놀릴 때 하는 말 ’ 이라고 나와 있다 .  하지만 이것은 지나치게 부드럽게 표현한 것이고 실제로는 남녀 간의 성행위를 이르는 말이다 .   향가  ‘ 서동요 ’ 에 나오는 것처럼  “ 선화공주님은 남 몰래 어르고 … ” 에서  ‘ 어르다 ’ 라는 말은  ‘ 사통하다 혹은 정을 통하다 ’  등의 의미를 지니고 있다 .  즉  ‘ 얼레리 ’ 라는 말은  ‘ 남녀 간의 성행위 ’ 를 묘사하는 말이고 , ‘ 꼴레리 ’  또한 운을 맞추면서  ‘ 남자의 성기가 커지는 것 ’ 을 말한다 .  이 정도로 설명하면  ‘ 어르고 뺨치다 ’ 나  ‘ 어르고 달래다 ’ 의 의미를 알 수 있을 것이다 .  이런 말들은 아이들이 할 말은 아니다 .   중부대 한국어학과 교수 · 한국어문학회 회장

‘말모이’ 주역 3인의 고향 의령…“국어사전박물관 짓자” 열기

图片
  입력  2023.11.28 00:01 안대훈 기자  구독 조선어학회 회원들이 사전 편찬 작업을 하는 모습. [사진 문화재청] “말과 글이라는 게 민족의 정신을 담는 그릇인데, 그렇게 사라진 우리 조선말이 한두 개가 아니거든요.” 2019년 개봉한 영화 ‘말모이’에 나오는 대사다. 말모이는 한국에서 최초로 편찬을 시도한 국어사전 원고로 ‘말을 모은다’라는 뜻이다. 영화는 일제강점기 우리 말과 글을 지키고자 말모이 원고를 바탕으로 은밀히 『조선말 큰사전』 편찬 작업을 하던 조선어학회 이야기를 다룬다. 하지만 일본 경찰에 발각, 조선어학회 회원과 관련자 33명이 치안법상 내란죄 혐의로 붙잡혀 혹독한 고초를 겪는다. 1942년 10월 실제 발생한 ‘조선어학회 사건’이다. 해방 후 완간된 『조선말 큰사전(1957년)』은 우리말 사전의 초석이 된다. 조선어학회의 사전 편찬 작업에서 총괄·재정·실무 등 중심적인 역할을 했던 인물 3명이 경남 의령 출신이다. 영화 속 조선어학회 대표 류정환(윤계상)의 실제 모델인 고루 이극로(1893~1978년) 선생을 비롯한 남저 이우식(1891~1966) 선생, 한뫼 안호상(1902~99년) 선생이다. 해당 실화를 바탕으로 제작된 영화 ‘말모이’ 한 장면. [사진 롯데엔터테인먼트] 이 때문에 의령에서는 이들 독립운동가 정신을 기려 ‘국립국어사전박물관을 건립하자’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국립국어사전박물관 건립 추진위원회는 오는 29일 의령군민회관에서 “국립국어사전박물관 건립, 어떻게 할 것인가”라는 주제로 ‘제4차 학술대회’를 연다. 서정목 서강대 국어국문학과 명예교수, 김정대 경남대 한국어문학과 명예교수 등 학계·교육계 인사가 주제 발제와 토론자로 참여한다. 2020년 10월 민간 주도로 발족한 추진위는 매년 학술대회를 열어 국어사전박물관 건립 필요성을 주장해왔다. 국어사전박물관 의령 건립은 윤석열 대통령 공약이었다. 경남도와 의령군도 지자체 핵심사업으로 박물관을 짓기로 하고 정부 예산 확보를 위해 애쓰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