博文

사람이 죽어도 안 바뀌는 제도

图片
  장애인을 바라보는 우리의 사뭇 다른 시선... 장애인 이동권 하루 빨리 보장되어야 24.11.29 19:42 l 최종 업데이트 24.11.29 19:42 l   이현우(lhwnr)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지하철역 맞이방(대합실)에서 평소 들리지 않았던 음악 연주 소리가 들렸다. 첼로, 바이올린, 플루트 등 현악기와 관악기의 합주 소리였다. 지하철역에서 좀처럼 들리지 않았던 소리 때문이었을까. 다들 숨죽인 채로 시선을 고정한 탓인지 소음이 가득했던 역사가 공연장이 되었다. '지역 주민과 함께하는 장애인식개선 캠페인 및 문화공연.' 올해 4월 20일이었다. 매년 이날은 장애인의 날이다. 시각장애인복지관에서 준비한 행사였다. 약 스무 명이 무대로 마련된 공간에서 악기를 연주했고, 나처럼 연주 소리에 이끌린 시민들이 발걸음을 멈춘 채로 음악을 감상했다. 큰사진보기 ▲ 장애인 인식개선을 위한 캠페인 부스가 마련되었다. ⓒ 이현우 관련사진보기 승차장으로 들어가는 개찰구 쪽에는 인식 개선 캠페인을 위한 홍보 부스가 있었다. 시각장애인을 위한 각종교구를 안내하기도 하고 점자 명함을 만들어주기도 했다. 간단한 OX 퀴즈를 맞히는 부스도 있었다. 문화 공연 덕분에 예기치 않은 선물을 받은 기분이었고, 캠페인 덕분에 한 번 더 우리 사회를 돌아보게 된다. 훌륭한 기획이었다. 지하철역이라는 공공공간을 잘 활용한 행사였다. 장애인 이동권 책임은 누구에게? 태엽을 돌려 2023년 4월 20일로 돌아가보자. 그날은 미팅이 있는 장소로 출근하는 길이었다. 평소와는 달리 지하철 4호선(서울)을 이용했다. 휴대폰을 꺼낼 틈이 없을 정도로 지하철 내부는 출근 인파로 가득했다. 그날따라 지하철은 유독 천천히 운행되었다. 방송에서는 전장연 시위 때문에 지하철 운행이...

‘멍텅구리’ 이야기

图片
  최태호의 맛있는 우리말 [354] ‘멍텅구리’ 이야기 최태호  필진페이지 + 입력 2024-11-29 06:20:07   ▲ 최태호 중부대 한국어학과 명예교수·한국어문학회 회장 멍텅구리는 물고기 이름이다 .  멍텅구리를 사전에서 찾아보면  ‘1. 아둔하고 어리석은 사람을 놀림조로 이르는 말  2. 병의 목이 좀 두툼하게 올라와서 예쁘게 생기지 아니한 되들잇병 . 3. 도칫과의 바닷물고기 .  몸의 길이가  25cm   정도이며 ,  갈색이고 잔 점이 많다 .  몸이 통통하고 가슴지느러미가 크며 배에 빨판이 있어 바위 따위에 붙는다 ’ 고 되어 있다 .   그런 것을 보면  ‘ 멍텅구리 ’ 는 물고기 이름에서 온 것이 확실하다 .  이것이 확장되어  ‘ ( 주로 )  분량만 많이 들어가는 병 ’ 으로  ‘ 되들잇병 ’ 이 되었고 ,  여기서 다시 사람으로 확장되어  ‘ 아둔하고 어리석은 사람 ’ 의 뜻으로 바뀐 것이다 .   ‘ 멍청이 ’ 라는 말도 있다 .  이것은  ‘ 멍텅구리 ’ 가  ‘ 멍텅이 ’ 로 변했다가 다시  ‘ 멍청이 ’ 로 변한 것으로 본다 .  함경도 방언에서  ‘ ㄷ ’ 과  ‘ ㅈ ’ 을 , ‘ ㅌ ’ 과  ‘ ㅊ ’ 을 서울말과 다르게 발음할 때가 많다 .  예를 들면 정거장을  ‘ 덩거당 ’ 이라고 하는 것이다 .  그러므로  ‘ 멍청이 ’ 는  ‘ 멍텅구리 ’ 에서 유래했다고 보는 것이 맞다 .   중부대 한국어학과 명예교수 · 한국어문학회 회장

명태균 4대 국정농단, 발언 총정리

图片
  기자명  한경준 기자    승인 2024.11.28 08:39    댓글 0   1. 윤석열 대통령 만들기 여론 조작 2. 김건희 개입, 공천 장사 3. 김건희 시켜 인사 개입 4. 창원의 왕 명태균, 국정 개입 김건희 여사 공천 개입 의혹 핵심 당사자인 명태균 씨가 9일 오전 2차 검찰 조사를 받기 위해 경남 창원시 성산구 창원지방검찰청으로 출석해 취재진의 질문을 받고 있다. ⓒ뉴시스 1. 윤석열 대통령 만들기 여론조작 명태균 발언 내용(10월 14일 CBS 출연) “김재원씨(현 국민의힘 최고위원)나 이런 분들은 코바나컨텐츠에 한번 가본 적이 있다고 하던가. 아크로비스타 306호 대통령 자택에 한번 가본 적이 있나” “(저는 아크로비스타에) 셀 수 없이 갔다” “(윤 대통령 부부와) 연결이 된 것은 (2021년) 6월18일” “매일 전화는 거의 빠짐없이 했다.” “아침에 전화가 오면 그렇지 못할 경우가 있는데 그러면 낮에도 여러 번씩 계속 통화를 했다.” “오세훈 (서울)시장과 이준석 (당시 국민의힘 대표)을 만들었으니까 당연히 그쪽(윤 대통령 부부)에서 저를 찾으러 다니지 않았겠느냐?” “스피커폰으로 (저에게) 아침에 전화가 온다. 두 분이 같이 듣는다.” 명태균은 김건희 여사와 2021년 6월 18일 처음 만났다고 밝혔다. 10월 14일 CBS에서도 그렇고 검찰에서도 일관된 진술을 보여줬다. 윤석열 대통령 부부와 아크로비스타 이웃으로, 친분이 깊은 것으로 알려진 함성득 교수도 그 날 명태균을 김건희 여사가 운영하던 코바나컨텐츠 앞에 데려다준 것이 사실이라고 밝혔다. 2022년 4월 명태균-지인 통화 "내가 뭐라 하데. 경호고 나발이고 내가 (김건희 여사에게) 거기 가면 뒈진다 했는데 본인 같으면 뒈진다 하면 가나“ "내가 김건희 사모 앉은뱅이라고, 눈 좋은, 끌어올릴 사주라 하고. 내가 뭐라 했는지 알아요? (김건희) 본인이 영부인 사주가 들어앉았고 그 밑에 대통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