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차 소성리 범국민평화행동…"한반도 평화의 길, 사드 철거에서 시작"
기자명
- 한경준 기자
- 승인 2025.09.20 20:01
- 댓글 0

20일 오후 경북 성주군 소성리 진밭교 앞에서 민주노총과 시민들이 모여 사드(THAAD) 철거와 한미일 군사동맹 중단을 촉구했다. 오후 1시 민주노총 자주평화 결의대회, 오후 2시 제19차 소성리 범국민평화행동이 잇달아 열렸고, 참가자들은 사드 기지 앞까지 행진하며 “사드 가고 평화 오라”는 구호를 외쳤다. 이날 집회는 문재인 정부의 사드 추가 배치를 규탄하며 분신한 고(故) 조영삼 열사 9주기 추모기도회도 함께 진행됐다.
민주노총은 자주평화 결의대회를 통해 노동자들이 반미 투쟁에 앞장서겠다고 결의했다.
김광창 민주노총 중앙통일선봉대장은 “관세 협상에서 ‘미국 측 요구를 그대로 받아들였다면 탄핵당했을 것’이라는 이재명 대통령의 발언은 미국의 요구가 매우 강도적이며, 한미 동맹이 우리나라에 아무런 도움이 안 된다는 걸 스스로 고백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최용규 민주노총 울산본부장은 “대미 투자 3,500억을 약속하고 받은 건 쇠사슬이었다”라고 말했다. 또한 “임산부까지 중범죄자 다루듯 했다”며 미국의 충격적인 행태를 강조했다. 이어 “노동자가 중심이 돼 몰락해 가는 미국을 박살 내자”고 말했다.

소성리 범국민평화행동에서는 종속적이고 굴욕적인 한미 동맹을 규탄하고 전 국민적 투쟁을 만들어 나가자는 호소가 이어졌다.
이종희 성주 주민대책위 공동위원장은 조지아에서 벌어진 한국인 노동자 구금 사건을 언급하며 “한국을 장기판의 졸로 보는 동맹의 현실을 트럼프 때문에 더욱 절실하게 느꼈다”라며 “미국이라는 낡은 십자가를 보내버리고 한반도를 평화가 숨 쉬는 땅으로 만들자”고 말했다.
박태정 김천 시민대책위 공동위원장은 “사드가 불법으로 배치되는데 한마디도 못 하는 주권 없는 나라의 현실을 봤다”라며 “사드가 한반도 핵전쟁의 도화선이 될 걸 알기에 사드 철거 투쟁은 멈출 수 없다”고 강조했다.
김재하 전국민중행동 공동대표는 “대한민국이 미국에 단 한 번이라도 당당하게 맞섰다면 조지아에서 한국 노동자들을 개돼지 취급했을까 하는 모멸감을 느꼈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가 선택할 수 있는 건 두 길뿐이다”라며, “미국은 강대국이니 어쩔 수 없다며 내주거나, 목숨을 걸고서라도 그런 강도에 맞서 가족과 나라를 지키기 위해 제압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함재규 민주노총 통일위원장은 “2002년 효순·미선이 투쟁에서 ‘탱크라도 구속하라’는 구호가 절절히 맺혀 있다”며 “대중국 전쟁에 한국을 끌어들이고 천문학적인 투자를 뜯어 가는 동맹은 필요 없다”고 비판했다.
한편, 최근 사드 철거 투쟁과 관련해 2심에서 12명에 대해 4,700만 원 배상 판결을 내렸다. 대회 참가자들은 사드 배치와 관련된 불법성을 규탄하며 모금에 동참했다.

2017년 9월 7일, 국민의 촛불로 탄생한 문재인 정부는 수천 명의 경찰 병력을 동원해 사드 추가 배치를 통해 사실상 또 하나의 ‘캘리포니아’를 만들었다. 국민이 만든 정부가 국민을 배신한 날이었다. 이재명 정부 역시 한미일 동맹에서 벗어나지 못한다면, 국민을 내팽개치는 것과 다름없다.
대중국 전쟁의 한 축에 있는 사드는 대한민국의 안보를 지켜주는 장치가 아니다. 한반도를 전쟁의 최전선으로 만드는 족쇄일 뿐이다. 정부는 한미일 군사동맹을 ‘협력’이라는 이름으로 포장하는 기만을 멈추고, 자주와 평화의 원칙을 분명히 세워야 한다. 진정한 평화는 스스로 주권을 쟁취해야 가능하다.
评论
发表评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