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농산물 개방전략 1.
  [김은진의 반미밥상] 미국의 농산물 개방전략 1.      김영란 기자    기사입력: 2018/07/31 [16:59]  최종편집: ⓒ 자주시보       김은진 교수 ( 원광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  민중당 공동대표 ) 가 미국의 농산물 개방전략으로 우리의 밥상을 어떻게 변화시켜왔는지에 대한 강의를  2 회에 걸쳐했다 .     1940 년대부터 농업을 둘러싼 세계정세와 우리 농업 ,  밥상과의 문제는 어떠한가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     경제성장 정책이 농업을 어떻게 변화시키고 ,  우리의 농촌 현실 ,  작물 재배 방식에 영향을 주고 ,  경제성장과 이농정책의 상관관계에 대해서도 설명했다 .     또한  1980 년대 왜 전 세계적으로 환경운동이 활발하게 시작되었는가도 짚어보았다 .     김은진 교수는  “ 우루과이라운드 당시 우리나라 정부는 쌀을 지키겠노라 큰소리를 쳤다 .  그러나 결국 지키지 못했다 . 2004 년 재협상에서도 지키겠다고 말했지만 그러지 못했다 .  그리고  2014 년 ,  정부는 어이없게도  20 년 버텼으니 충분하다고 쌀 수입개방을 선언했다 .  지난  20 년 ,  우리가 지키려고 했던 것은  ‘ 쌀 ’ 이라는 농작물이 아니었다 .  우리가 지키고자 했던 것은  ‘ 쌀 ’ 이 대표하는 우리 밥상이었다 .” 고 강조했다 .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먹거리 문화 ,  밥상에 대해 많은 사람들이 주목하고 있다 .     우리네 밥상은 ,  먹거리를 어떻게 바꿔야 할 것인가 ,  고민해보자                          관련기사   전여농, “여성농민 걸어서 백두산까지!” 자주통일 실천단 발대식  민중당, “쌀 생산조정지를 통일경작지로!”  전농, “정부의 곡물자급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