博文

目前显示的是 2023的博文

뉴욕타임스 챗GPT 개발사 소송에 조선·경향 “네이버도 허락 없이 뉴스활용 부당”

图片
   박서연 기자     입력 2023.12.31 20:25    댓글  1   SNS 기사보내기 페이스북(으)로 기사보내기   트위터(으)로 기사보내기   카카오톡(으)로 기사보내기   URL복사(으)로 기사보내기   이메일(으)로 기사보내기   다른 공유 찾기   기사스크랩하기 “네이버 하이퍼클로바X의 뉴스 학습 부당” 의견 공정거래위에 제출 신문협회, 지난 28일 네이버 뉴스 콘텐츠 제휴약관 개선방안 비판 미국 언론사 뉴욕타임스가 챗GPT를 만든 오픈AI와 마이크로소프트(MS)를 상대로 저작권 침해 소송을 제기한 가운데, 한국신문협회도 공정거래위원회에 포털 네이버의 생성형 AI 개발에 언론사 콘텐츠가 무단으로 학습되고 있다는 의견서를 제출했다. 조선일보와 경향신문은 각각 사설과 칼럼으로도 네이버를 비판하고 나섰다. ▲미국 뉴욕에 있는 뉴욕타임스. ⓒ미디어오늘   신문협회 “생성형AI 뉴스학습 네이버에 언론사 공동협상 허락해야” 지난 28일 신문협회는 포털 네이버가 언론사의 뉴스 콘텐츠를 자사의 생성형 AI ‘하이퍼클로바X’를 개발하는 데 사용하면서 정당한 대가를 지불하지 않고 어디까지 사용하고 있는지도 밝히지 않고 있다는 내용의 의견서를 공정거래위원회에 제출했다.  앞서 네이버는 지난 5월31일까지 ‘뉴스 콘텐츠제휴 약관’을 개정 동의 절차를 진행했다. 개정 전에는 네이버는 새 서비스 개발을 위해 뉴스 콘텐츠를 제 3자에게 위탁하는 방식으로 진행할 경우 사전에 제공자(언론)의 동의를 얻어야 한다는 내용이었다. 개정 후에는 새 서비스 개발을 위해 뉴스콘텐츠를 제3자에게 위탁하는 방식으로 정보를 이용할 경우 네이버를 제외한 제3자의 경우만 사전에 동의를 얻어야 한다고 했다. 한마디로 네이버는 어떤 서비스를 개발하더라도 별도 동의절차 없이 언론사 콘텐츠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는 것. 이에 신문협회는 공정거래위원회에 “정부는 네이버 하이퍼클로바X의 뉴스 학습 근거가 되는 ‘뉴스 콘텐츠 제휴약관’ 문제점을 시정해야 한다”며 “네이버가 제휴사 공통으로 해당되는 ‘

윤 정부에 몰아치는 ‘혐중’ 현상, 무사안일 징표이자 '금지된 장난'이다

图片
 [기고] 키신저의 "중국 발전은 운명"이라는 말을 기억해야 하는 이유 한광수 미래동아시아연구소 이사장 | 기사입력 2023.12.31. 06:11:52 누가 '냉전'을 버렸는가? 지난 늦가을, 국제정치 무대를 마치 초원의 사자처럼 누비던 당대 최고의 미국 외교관이 세상을 떠났다. 바로 헨리 키신저다. 그는 미중화해로 G2시대의 서막을 연 인물이다. 향년 100세. 그의 미중화해가 한국에 미친 충격은 엄청났다. 6.25의 애치슨라인과 비교될 정도다. 전쟁 시기 신생 한국을 놀라게 한 인물이 애치슨이었다면, 화해로 반공 한국을 경악케 한 키신저의 충격은 지금도 이어지는 중이다. '반공 쿠데타'와 '반공 근대화'로 성공한 박정희 군사정권은, 미중화해를 도저히 이해할 수 없었다. 그는 닉슨이 권하는 남북화해를 한사코 거부했다. 그리고 영구집권을 손에 쥐기도 했다. 그러나 마침내 10.26정변과 12.12쿠데타가 터졌다. 요즘 주목받는 영화, <서울의 봄>도 이런 미중화해의 맥락에 들어있다. 이어진 광주학살 직후, 미국의 지지를 받은 신군부는 '반공'을 '친공'으로 바꾸는데 주저하지 않았다. 미국의 세계전략 기준은 어떻게 옮겨간 것일까? 이 글은 키신저의 활동을 중심에 놓고, 냉전과 화해 사이에서 좌충우돌하는 오늘의 우리 한국 상황을 들여다보면서 쓴 것이다. '한반도 밀약' 미중화해를 넉 달 앞두고 베이징으로 날아간 키신저는 중국 총리 저우언라이와 한반도 밀약에 합의했다(1971.10). 그들에게 한국과 한반도는 미중화해의 걸림돌이 되어서는 안 되는 '뜨거운 감자'였다. 그들이 찾은 분단 한반도의 타협점은 '현상유지(state quo)' 밀약이었다. 30년 후에 밝혀진 이 밀약을 당시 한국정부는 까맣게 몰랐다. 저우언라이 : 세 가지를 말씀하셨는데... 언젠가 미군이 한반도 남쪽에서 철수할 때 미국은 일본 자위대 군사력

[단독]민경우 국힘 비대위원 “이태원 참사 유가족들 막무가내로 개기잖아”

图片
  김동현 기자 abc@vop.co.kr   발행 2023-12-30 17:29:43   수정 2023-12-30 17:55:33 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29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비상대책위원 임명장 수여식 및 제1차 비상대책위원회의에서 민경우 비대위원에게 임명장 수여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2023.12.29 ⓒ뉴스1 민경우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회 위원이 유튜브 방송에서 이태원 참사 유가족을 폄훼하는 발언을 한 것으로 확인됐다. 민 비대위원은 ‘대안연대’가 올해 2월 5일 개최하고 유튜브 채널을 통해 생중계 한 ‘저자와의 대화’에 출연해 다양성을 존중하는 것이 마냥 좋은 것이냐며 그 예로 “이태원 참사 유가족들이 막무가내로 개기잖아요”라고 말했다. 그는 “다양성을 존중하자는 얘기를 우리는 민주주의 교육을 너무 많이 받았기 때문에 그 얘기가 좋은 것으로 생각한다”면서 “그런데, 이런 다양성이 괜찮냐”고 반문한다. 이어 “이태원 참사 유가족들이 막무가내로 개기잖아요, 전장연 이것도 막무가내로 개기잖아요”라면서 “이것도 다양성이라고 인정해야 되냐 말이에요”라고 말했다. 그는 “민주주의 사회에서 다양성을 인정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지금은 너무 극단적인 진영정치는 제어해야 한다”고 설명하면서 “사회가 이렇게 까지 몰고가면 사실은 미국이나 브라질 처럼된다. 선거가 끝났는데 국회의사당에 몰려가서 난동을 부린다”고 말했다. 이 행사가 있던 2월 초는 국회에서 이태원 참사 청문회가 진행된 이후로 국회에서 유가족들이 의원들에게 격렬하게 항의하는 장면이 생중계를 통해 국민들에게 알려졌던 시기다. 이태원 참사 유가족들의 행동을 진영정치의 폐해의 한 예로 설명하고 미국 대선 이후 벌어졌던 의사당 점거 사태와 같은 것으로 언급한 것이다. 민 비대위원은 지난 10월 유튜브 방송에서 “지금 가장 최대의 비극은 노인네들이 너무 오래 산다는 것”이라며 “빨리빨리 돌아가셔야 한다”고 말한 사실이 드러나 논란이 되기도 했다. 관련 기사 ‘노인 비하’ 민경우 국힘 비대위원

“김건희 특검 거부하면 탄핵!”…올해 마지막 촛불대행진 열려

图片
  문경환 기자   |  기사입력 2023/12/30 [18:01] 공유하기 더보기 올해 마지막 촛불대행진이 12월 30일 오후 3시 서울시청과 숭례문 사이 대로에서 열렸다.      © 김영란 기자 ‘김건희 특검 거부하면 탄핵’을 부제로 내건 ‘윤석열 퇴진! 김건희 특검! 71차 촛불대행진’에는 쏟아지는 진눈깨비를 무릅쓰고 연인원 5천 명이 모였다.    김민웅 촛불행동 상임대표는 “마침내 김건희 특검 통과를 이뤄냈다. 촛불국민이 전력을 다해 투쟁한 결과다. 그런데 윤석열이 거부권을 행사한다고 큰소리친다. 윤석열과 김건희 함께 처벌해야 한다”라며 “윤석열은 이래도 죽을 판, 저래도 죽을 판”이라고 주장했다.    ▲ 발언하는 김민웅 촛불행동 상임대표.  © 김영란 기자 또 “(총선에는) 모든 정치적 무기가 합법적으로 제공된다. 저들이 이걸 독차지하게 하지 말자. 우리 또한 모든 수단을 총동원해서 싸우자”라면서 촛불행동의 총선 대응 계획을 결정하기 위한 전 회원 토론과 총투표에 함께 해달라고 호소했다.    곳곳에서 촛불대행진을 위해 애쓰는 촛불합창단, 촛불자봉단, 촛불풍물단이 함께 무대에 올라 한 해를 보내는 발언을 했다.    촛불합창단의 홍상선 씨는 “우리 모두 함께 주권자가 주인 되는 그날까지 촛불의 항쟁을 그칠 수 없다”라며 “2024년 갑진년에도 촛불합창단에 많이 참가해 달라”라고 호소했다.    촛불자봉단의 유능한 씨는 “정해진 집회 시간보다 일찍 나와서 끝날 때까지 일을 하다 보면 피곤할 때도 있다. 하지만 윤석열 탄핵, 김건희 특검을 여러분과 함께 외치면서 또 한 번의 촛불대행진을 잘 마무리하고 귀가하는 촛불시민 여러분의 고맙다, 고생했다는 인사 한마디에 감사와 보람을 느낀다”라고 하였다.   촛불풍물단의 이완길 씨는 “새해에는 윤석열을 끌어내리고 신명 나는 대동의 한마당을 펼쳐보는 꿈을 꾸어본다. 검찰독재 쓸어내고 한·미·일 군사동맹 해체하고, 남북이 하나 되어 평화를 이루고 대륙으로, 바다로 나아가는 큰 꿈을 모두 함께 꾸어보자”라고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