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란의 밤, 윤석열에게 국회 상황 보고한 인물은?
기자명 한경준 기자 승인 2025.07.17 16:10 댓글 0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안 1차 표결일인 12월 7일 오전, 추경호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가 끝난 뒤 나오는 동안 진보당 의원들과 관계자들이 탄핵 동참을 촉구하는 피케팅을 하고 있다. ⓒ뉴시스 2024년 12월 3일, 윤석열은 군 지휘부에 “국회 문을 부수고 진입하라”는 명령을 내렸다. 곽종근 전 특수전사령관은 윤석열이 "아직 정족수가 채워지지 않은 것 같다"고 말한 사실을 증언했다. 정족수가 채워지기 전에 국회를 장악해 계엄해제 결의안이 통과되지 못하게 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그렇다면 국회 본회의장 상황을 윤석열에게 실시간으로 알려준 사람은 누구인가? 12월 3일 내란의 밤, 국민의힘에는 비상 계엄해제를 막기 위한 조직적인 움직임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일부는 국회 안에 있었으나 표결에 참여하지 않았고, 많은 의원들이 당사에 머물렀다. 또 다른 일부는 국회에 진입하려는 시늉만 했다. 이는 2017년 기무사가 계엄문건에서 여당 의원들을 불참시켜 계엄해제 표결을 막으려 했던 계획을 떠오르게 한다. ▲ 박근혜 정부 당시 작성된 계엄문건. 계엄해제 시도를 차단하는 방법을 메뉴얼로 정리하고 있다. 그날 표결에 참여한 국민의힘 의원은 18명이었다. 이들은 계엄해제에 찬성표를 던졌지만, 일부 의원은 이후 내란을 옹호하는 입장으로 돌아섰다. 주진우 의원은 비상계엄에 대해 “야당의 폭주를 막기 위한 불가피한 조치였다”라는 표현으로 정당성을 주장했다. 장동혁 의원은 “이번 계엄에도 하나님의 계획이 있다”며 미화했다. 반면 국회에 있었으면서 표결에 참여하지 않은 국민의힘 의원들도 있다. 추경호, 신동욱, 김대식, 김희정, 송언석, 임이자, 정희용, 조지연 등 최소 8명은 표결 당시 국회 내에 있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신동욱과 김대식은 본회의장 안에 있는 모습이 카메라에 포착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