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기 깨고 일본서 전시된 ‘소녀상’…시민들이 우익 테러 막는다
- 获取链接
 - X
 - 电子邮件
 - 其他应用
 
금기 깨고 일본서 전시된 ‘소녀상’…시민들이 우익 테러 막는다
등록 :2019-07-31 07:59수정 :2019-07-31 09:40
수십만명 찾는 ‘아이치 트리엔날레’
일본대사관 앞 평화의 소녀상과
똑같은 작품 1일부터 첫 전시
“무사히 마치면 일본 사회에 희망”
시민들 교대로 우익방해 대응키로
일본대사관 앞 평화의 소녀상과
똑같은 작품 1일부터 첫 전시
“무사히 마치면 일본 사회에 희망”
시민들 교대로 우익방해 대응키로
일본 아이치현 나고야 아이치현미술관 등에서 8월1일부터 열리는 ‘아이치 트리엔날레 2019’ 전시 작품 중에 주한일본대사관 앞 ‘평화의 소녀상’과 같은 모습의 소녀상이 전시될 예정이다. 사진은 지난달 독일 도르트문트에서 ‘일본군 성노예제와 여성 인권’을 주제로 개최된 ‘보따리전’에 전시됐던 평화의 소녀상으로 이번에 일본에서 전시되는 소녀상과 같은 형태다. 아이치 트리엔날레 쪽은 전시의 민감성을 고려해서 31일 설명회 전까지 전시 작품 촬영을 허용하지 않았다. 김운성·김서경 부부 제공
아이치현은 8월1일부터 10월14일까지 ‘정(情)의 시대’라는 주제로 나고야 아이치현미술관 등에서 ‘아이치 트리엔날레(triennale) 2019’를 개최하는데, 전시 작품 중 평화의 소녀상이 포함돼 있다. 아이치 트리엔날레는 아이치현 일대에서 2010년부터 3년 주기로 열리는 일본 최대 규모 국제예술 전시회로, 2016년 전시회 때는 관람객 60만명을 모았다. 29일 전시 개최 장소 중 한 곳인 나고야에서 만난 예술감독 쓰다 다이스케는 전시 취지에 대해 “소녀상에 대해 찬반을 말하려는 것이 아니다. 일본에서는 이 조형물 이름이 평화의 소녀상이며 위안부상이 아니란 점조차 잘 알려져 있지 않다”고 말했다. 그는 “어떤 경위로 제작됐고 어떤 의미가 있으며 왜 (2012년 전시 때 모형이) 철거됐는지를 객관적 사실과 함께 보여주자는 것”이라며 “실물을 보고 판단했으면 한다”고 말했다.
평화의 소녀상을 제작한 김운성(왼쪽)·김서경(오른쪽) 작가 부부 그리고 전시를 기획한 오카모토 유카(가운데)가 29일 아이치현 나고야시에 있는 아이치현미술관 앞에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 뒤에 보이는 포스터는 2019 아이치 트리엔날레 포스터다. 나고야/조기원 특파원
원문보기:
http://www.hani.co.kr/arti/international/japan/903948.html?_fr=mt1#csidxc7c088b168c84ffa24d9cc94603989c

원문보기:
http://www.hani.co.kr/arti/international/japan/903948.html?_fr=mt1#csidx0f9d28cb6fc46e7bcfd69b904f5166b

- 获取链接
 - X
 - 电子邮件
 - 其他应用
 
评论
发表评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