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홍근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가 10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후쿠시마 방사성 오염수 방류' 대응 방일 결과보고 기자간담회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윤재갑 의원, 양이원영 의원, 박 원내대표, 위성곤 후쿠시마 원전오염수 방류 저지 대응단장, 윤영덕 의원. 2023.4.10. ⓒ뉴스1
일본의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출과 관련해 현지 주민들의 반대 여론이 상당했다고 지난 6일부터 9일까지 일본을 방문한 민주당 의원들이 밝혔다. 정보를 제공받지 못한 탓에 자녀가 강한 방사선에 피폭되는 일을 겪고, 일본 정부와 도쿄전력을 신뢰하지 못하게 된 사례 등을 들었다고 전했다. 또 그동안 일본 정부는 대안이 있음에도 오염수를 바다에 버리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어서 국제적으로 비판을 받아 왔는데, 개인소유의 땅을 빌려주겠으니 바다에 버리지 말고 땅에 보관해 달라 호소한 일본시민도 있었다고 강조했다.
‘더불어민주당 후쿠시마 원전오염수 방류 저지 대응단’(단장 위성곤, 간사 양이원영))은 10일 국회에서 1박 3일 방일 활동 보고 간담회를 열고 이같이 밝혔다.
앞서 민주당 위성곤·양이원영·윤영덕·윤재갑 의원은 지난 6일부터 8일까지 1박3일 일정으로 일본 도쿄와 후쿠시마를 방문했다. 이들은 이 기간 동안 도쿄전력을 방문해 정확한 오염수 방류 개시 시점, 오염수 현황 자료, 오염수 방류 연기 및 저장탱크 확충 대안 검토 여부 등을 요구하는 요청서를 전달했다. 또 구마모토 가즈키 메이지학원대 명예교수, 반 히데유키 원자력자료정보실 대표, 시마 아케미 후쿠시마 타네시 의원, 곤노 스미오 전 원전 노동자, 후세 사치히코 후쿠시마공동진료소 원장 등을 만나 현안을 청취했다.
더불어민주당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대책단 소속 윤영덕·위성곤·양이원영·윤재갑 의원이 7일 일본 후쿠시마시를 방문해 후세 사치히코 후쿠시마공동진료소 원장을 면담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양이원영실 제공) 2023.4.7. ⓒ뉴스1
일본정부·도쿄전력에 대한 불신 후쿠시마 소속 지자체 70% 반대 관광·농업·어업 단체 한목소리 오염수 바다에 버리지 말고 “내 땅 사용하라”는 일본시민
대응단에 따르면, 현지 주민들은 “대안이 있다”고 말했다. 오염수를 바다에 버리지 않고 장기간 보관할 수 있는 방안이 있다고 본 것이다. 양이원영 간사는 “우리가 현장에 가서 봤을 때, 주변에 (오염수를 보관할) 땅이 굉장히 많았다”며, 심지어 ‘내 땅 빌려주겠으니 저장하라’고 나선 시민도 있다고 전했다.
또 일본정부와 도쿄전력에 대한 불신이 가득했다고 밝혔다. 위성곤 단장은 “그동안 (후쿠시마 원전 폭발) 사고 이후 10년 넘는 기간 동안 (일본정부와 도쿄전력 등과) 접촉해서 만나왔지만 늘 그래왔다고, 그래서 이번 방류 결정에 대해서도 믿기 어렵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양이원영 간사 또한 간담회 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초등학생 아이 둘을 둔 엄마가 (일본정부와 도쿄전력 측에서) 정보를 제대로 제공하지 않은 것 때문에 너무 화가 나서 시의원이 되고, 그 정보를 제공받기 위한 싸움을 하고 있었다”라며 “또 원전 노동자의 경우 정보를 제공받지 못해 다섯 살 자녀가 가장 높은 선량으로 피폭당했다. 그래서 (일본정부 등을) 못 믿으니까, 자신이 직접 여기저기 다니면서 선량 측정 계측기로 애들 등하굣길 중 안전한 곳이 어딘지 확인하고 있었다. 사고가 이어난 지 10년 지났는데도”라고 설명했다. 원자력자료정보실 대표도 오염수 정보공개를 조직적으로 차단하고 있다는 의심을 하고 있었다고 한다.
후쿠시마 현 소속 지자체 70%가 반대하고, 관광·농업·어업 단체도 한목소리로 반대하고 있었다고 밝혔다. 간담회 직후 양이원영 간사는 “15살부터 수산업을 했던 어민은 피를 토하는 심정으로 얘길 했다”라며 “12년 만에 다시 어업활동을 재개하려는데 방류하면 우리는 다시 나락에서 처음부터 다시 시작하는 거다, 그래서 결사적으로 반대한다 그렇게 말하더라”라고 전했다.
현지에서 청취한 내용을 전하며, 위 단장은 “다소 시급하게 추진된 일정이지만, 정희 방문단의 당초 목표했던 것은 달성했다고 판단한다”라고 밝혔다.
그는 “일본정부의 오염수 관리 문제를 확인했고, 대한민국 국민의 우려와 여론을 전달했으며, 방류에 대한 일본 국민의 반대여론을 재확인했다. 한국과 일본 국민의 관심을 다시 한 번 환기시키는 성과도 있었다”라고 강조했다. 또 “도쿄전력이 공개하지 않고 있는 오염수 관련 데이터를 강력히 요구함에 따라 우리 정부가 투명한 정보공개 요구에 나설 수 있는 조건도 만들었다”라고 덧붙였다. 양이원영 간사는 “제일 중요한 것은 여론 환기였다”라며 “이분들 하는 얘기가, 이제 잊혀서 정치인들이 찾지 않는 사람이 됐다고 했다. 그런데 한국의 의원들이 찾아줘서 고맙다고 했다”라고 말했다.
한편, 대응단은 이번 방일 활동에 이어 △ 정부TF와의 면담 △ 한일 전문가 토론회 △ 여야 공동 논의를 위한 국회 기구 신설 및 국정조사 △ 여야 공동 국제논의기구 창설 및 태평양도서국포럼(PIF) 국가들과의 협력 등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우리말 바루기] 들렀다, 들렸다? “부모님 댁에 갔다가 돌아오는 길에 마켓에 들렀다.” “귀가길에 항구에 들려 바닷바람을 쐬고 왔다.” 지나가는 길에 잠깐 머무르는 일을 나타낼 때 위에서와 같이 ‘들렀다’고 말하기도 하고, ‘들렸다’고 표현하기도 한다. ‘들렀다’와 ‘들렸다’ 둘 중 어떤 것이 바른 표현일까. ‘들렀다’와 ‘들렸다’를 혼동해 쓰는 이유는 기본형을 정확히 알고 있지 못하기 때문이다. ‘지나가다 어딘가에 잠시 머무르다’는 의미를 나타내는 단어는 ‘들르다’이다. ‘들르다’는 ‘들르고, 들르며’ 등과 같이 활용되는데, ‘-아/-어’ 앞에서는 매개모음인 ‘으’가 탈락한다. 따라서 ‘들르-’에 ‘-어’가 결합하면 ‘으’가 탈락하면서 ‘들러’가 되고, 과거형은 ‘들렀다’가 된다. ‘들렀다’를 ‘들렸다’고 틀리게 쓰는 이유는 ‘들르다’가 아닌 ‘들리다’를 기본형으로 잘못 알고 활용했기 때문이다. ‘들려’는 ‘들리+어’가 줄어든 형태로, ‘들르다’가 아닌 ‘들리다’를 활용한 표현이다. ‘들리다’는 ‘듣다’의 사동사와 피동사나, ‘들다’의 사동사와 피동사로 사용하는 단어다. 그러므로 “부모님 댁에 갔다가 돌아오는 길에 마켓에 들렀다”는 바르게 쓰인 표현이므로 고치지 않아도 된다. “귀가길에 항구에 들려 바닷바람을 쐬고 왔다”는 ‘들려’를 ‘들러’로 고쳐 써야 바르다. # 우리말 바루기
[우리말 바루기] ‘결실’은 ‘맺지’ 말고 ‘거두자’ 중앙일보 입력 2024.02.08 00:11 지면보기 새해에 세운 계획을 잘 이행하고 있는지 중간 점검해 보자. 작심삼일로 끝난 이들도 있겠지만, 서서히 결실을 ‘맺고’ 있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일의 결과가 잘 맺어지거나 또는 그런 성과를 이루었을 때 많은 이가 이처럼 “결실을 맺다”고 표현하곤 한다. 그러나 여기에는 중복된 표현이 숨어 있다. ‘결실’은 ‘맺을 결(結)’ 자와 ‘열매 실(實)’ 자로 이루어진 낱말이다. 한자 뜻 그대로 풀어 보면 ‘결실’은 ‘열매를 맺는다’는 뜻으로, 이미 단어를 이루는 한자에 ‘맺다(結)’는 표현이 들어가 있는 셈이다. 따라서 “결실을 맺다”는 ‘맺다’를 두 번 연달아 쓴 중복된 표현이 된다. 그렇다면 ‘결실’을 쓸 때 어떤 낱말을 덧붙이는 게 좋을까. “결실을 맺다” 대신 “결실을 거두다” “결실을 보다”고 쓰는 게 더 적절하다. 우리말 바루기 다른 기사 이전 [우리말 바루기] ‘물렀거라’ ‘물럿거라’? 실생활에서 ‘살아생전’ ‘처갓집’과 같이 의미가 중복된 표현을 자연스럽게 쓰기도 하고, 표준국어대사전에 “평생을 성실하게 생활하신 부모님의 덕분으로 자식이 모두 성공의 결실을 맺게 되었다”는 예문이 나오기도 한다. 이렇듯 중복된 표현이 꼭 문법적으로 틀렸다고 볼 순 없다. 하지만 의미가 중복된 표현을 정확하고 올바르게 쓴 것이라고 보기도 어렵다. 굳이 중복된 표현을 쓰기보다 “결실을 거두다” “결실을 보다”라고 쓰는 게 더 바람직한 언어생활이라 할 수 있지 않을까. 이왕이면 명료하고 간결한 글이 말하고자 하는 바를 더 힘 있고 정확하게 전달하는 법이다. 김현정 기자 nomadicwriter@naver.com 더 중앙 플러스 이상언의 오늘+ 온난화 해법 ‘우주 차양막’ “우리는 길을 찾을 것이다” 유료 전문공개 민주 공관위원장에 “유퀴즈!” 尹정권 탄생 공신 누구입니까 ...
[박세열 칼럼] '서초동 권력'이 접수한 한국사회 세계관 박세열 기자 | 기사입력 2024.06.08. 04:09:34   한국은 '삼권분립'으로 설명될 수 없는 독특한 권력 지형을 갖고 있다. 행정부, 사법부, 입법부의 틈새에 제 4부라 할 수 있는 '검찰 권력'이 존재한다. 검찰은 행정부 소속이지만 스스로를 '준사법기관'으로 여긴다. 한국 검찰은 행정부이면서 행정부 포함 3부의 권력을 모두 견제하는데, 이 '검찰 권력'의 핵심은 수사와 소추의 독점 권한이다. 단순하게 말하면 범죄가 되는지 안되는지 1차적으로 판단하는 권력이다. 원래 검찰은 법을 집행하는 행정권의 '절제'와 '인권 보호' 등을 위해 도입된 제도다. '네 죄를 네가 알렸다'식 원님 재판을 막기 위해 사법권을 행사하는 판사와 동등한 수준의 법률전문가를 국가에서 고용해 '형사 절차'의 근대화를 이루기 위한 목적이다. 하지만 '기소독점권'과 같은 막강한 권한으로 '수사와 소추'의 독립성을 보장받는 한국 검찰은 3권의 사각지대에서 독특한 포지션에 자리를 비집고 들어앉아 한국 사회를 호령해왔다.  그리하여 한국에서는 3권 분립이 아니라 독특한 권력 분류법이 구전을 통해 존재한다. 이른바 '한국사회 세계관'이다. 여기에 따르면 한국 사회는 여의도 권력(정치)과 서초동 권력(검찰), 그리고 강남 권력(재벌)의 '삼권분점'으로 이뤄진다. 서울의 유명 지명들을 딴 이 권력 분류법은 '삼권분립'과 같은 따분한 학술적 규정보다 훨씬 직관적으로 한국사회를 설명해준다. 비유하자면, '삼권분립'이 낮의 권력 지형도라면, '삼권분점'은 밤의 권력 지형도다. 교과서와 필드매뉴얼의 관계라고 할까? 이 '구전설화'의 세계관에서 '행정부'를 따로 뺀 이유는, ...
评论
发表评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