檢, 과잉경호 도마…“누구로부터 朴을 보호하겠다는 건가”
![]() | |||||||||||||||||||||||||||
▲ 박근혜 전 대통령이 탑승한 차량이 21일 서울 삼성동 자택에서 서울중앙지검으로 향하고 있다. <사진제공=뉴시스>
파면 당한 박근혜 전 대통령에 대한 과잉경호가 도마에 올랐다. 21일 검찰에 소환된 박 전 대통령은 서울중앙지검 등 관계기관의 삼엄한 경호를 받았다.
이날 서울중앙지검 입구는 정문을 제외하고 전면 통제됐다. 검찰 공무원, 경비인력, 취재진 등을 제외한 민간인 출입도 통제됐다.
<미디어오늘>에 따르면, 취재가 허가된 기자들마저도 주민등록번호가 공개 기재된 비표를 목에 걸고 다녔다. 한 촬영기자는 “우리가 범죄자냐. 왜 개인정보를 이렇게 공개하고 난리냐”고 불쾌감을 드러내기도 했다.
심지어 서울중앙지검은 근접촬영구역 내 카메라 기자 사이에 일부 경호 인력을 배치하려다 사진기자들의 항의에 경호 인력을 촬영기자 뒤편으로 배치했다.
무소속 김종훈(울산 동구)‧윤종오(울산 북구)의원도 박 전 대통령에 대한 과잉경호를 지적하고 나섰다.
이들은 공동논평을 내고 “소환 길에 중계된 과잉경호‧경비문제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며 “불과 5km 남짓 거리에 수많은 경찰 싸이드카와 차량이 동원되고, 출근길 교통통제까지 이어졌다”고 비판했다.
특히 “탄핵으로 경호를 제외한 전직 예우를 받지 못하는데도, 여전히 행정관들이 삼성동을 드나들며 개인 집사 역할을 하고 있다는 보도마저 나온다”며 “헌법을 유린하고 국정을 농단한 탄핵 대통령 경호로는 도가 지나치다”고 지적했다.
한상희 건국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도 SNS에 “도대체 이런 경호-엄밀히 보자면 경호가 아니라 과잉예우-가 누구를 위한 것이며 누구로부터 그를 보호하겠다는 것인가”라고 성토했다.
그는 “박근혜를 퇴진시키고 이 검찰청에까지 불러들인 것은 촛불을 든 우리 국민”이라며 “그런데도 이 경호의 총구멍을 굳이 그 국민을 향해 견주도록 하겠다는 것인가”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
评论
发表评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