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희망펀드’ 시작부터 말썽…은행 직원 펀드 각출

‘청년희망펀드’ 시작부터 말썽…은행 직원 펀드 각출새정치 “군사정권의 관제적 성금 모금과 유사한 형태로 변질”
김미란 기자  |  balnews21@gmail.com
폰트키우기폰트줄이기프린트하기메일보내기신고하기
승인 2015.09.23  16:38:06
수정 2015.09.23  16:44:33
트위터페이스북네이버구글msn
박근혜 대통령이 제안한 ‘청년희망펀드’가 시작부터 말썽이다. KEB하나은행 등 시중 은행들이 직원들에게 청년희망펀드 가입을 강요하고 나선 것.
22일 <한국일보> 등에 따르면, 하나금융지주 자회사인 KEB하나은행, 하나금융투자 등은 전날 오후 전 임직원에게 청년희망펀드 가입을 독려하는 단체 메일 보냈다.
이에 따라 KEB하나은행 일부 영업점에서는 1인당 1좌(1만원 이상)에 더해 가족 명의까지 동원해 펀드에 가입하도록 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 영업점 직원은 “지점장이 직원 1인당 두 개씩 가입한 뒤 진행상황을 보고하라고 했다”며 “청년희망펀드 강제 가입에 직원들 불만이 크다”고 말했다.
  
▲ 박근혜 대통령이 지난 21일 오전 청와대 본관에서 대통령주재 수석비서관회의 종료 직후 청년희망펀드 공익신탁 가입신청서에 서명을 하고 있다.<사진제공=뉴시스>
하지만 이 같은 움직임은 다른 은행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은 성명을 내고 “벌써 KEB하나은행, 신한은행, 우리은행, KB국민은행, NH농협은행 등 5개 수탁은행들이 직원들에게 청년희망펀드에 가입하라고 했다는 소문이 있다”며 “청년희망펀드가 순수 기부라는 사실을 잊지 말고 금융노동자에 대한 실적 압박으로 변질되어선 안된다”고 밝혔다.
논란이 불거지자 KEB하나은행과 국민은행 측은 “직원들의 자발적 참여를 유도한 것이지 강제한 적이 없다”고 해명했다.
앞서 박 대통령이 해당 제안했을 때부터 정부가 기업들을 동원해 기금을 모으려는 것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된 바 있어 ‘청년희망펀드’에 대한 정치권을 비롯한 네티즌들의 회의적인 반응이 잇따르고 있다.
새정치민주연합 유은혜 대변인은 23일 브리핑을 통해 “하나은행은 강요는 없었다고 해명했지만, 직원들을 반강제적으로 동원한 것과 무엇이 다른지 묻지 않을 수 없다”고 꼬집었다.
유 대변인은 “펀드의 구체적인 사용처도 정해지지 않은 상황에서 제안 일주일 만에 덜컥 기부금 모집부터 시작한 데 대한 우려가 크다”면서 “정부가 모은 기금이 ‘눈먼 돈’처럼 새지 않으려면 기금 모집 전에 용처를 분명히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 기금으로 어떻게 청년실업을 해소해나가겠다는 것인지 밝혀야 한다”고 강조하면서 “더욱이 이제는 그 형태마저 과거 군사정권의 관제적 성금 모금과 유사한 형태로 변질되고 있어 매우 걱정스럽다”고 질타했다.
  
  
  
  
  
  
 

评论

此博客中的热门博文

[인터뷰] 강위원 “250만 당원이 소수 팬덤? 대통령은 뭐하러 국민이 뽑나”

‘영일만 유전’ 기자회견, 3대 의혹 커지는데 설명은 ‘허술’

윤석열의 '서초동 권력'이 빚어낸 '대혼돈의 멀티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