博文

目前显示的是 二月, 2025的博文

조선일보 폐간? 김건희는 조선일보에 감사해야 한다

图片
  [박세열 칼럼] 윤석열은 '엘바섬'을 탈출할 수 있을까? 박세열 기자    |    기사입력 2025.03.01. 10:04:05 1815년 나폴레옹이 유배지 엘바섬을 탈출했을 때, 당시 프랑스 최대 일간지 <르 모니퇴르>는 "코르시카 괴물, 후안 곶 상륙"이라는 제목을 뽑았다. 그해 3월 15일부터 나폴레옹이 파리에 입성한 3월 22일까지 이 신문의 헤드라인은 극적으로 바뀌었다. 3월 11일: 호랑이가 가프(프랑스 남동부)에 있다. 군이 그를 막을 것이다. 그는 산중 노숙 난민으로 비참한 모험을 끝낼 것. 3월 12일: 괴물이 그르노블로 진군하는 데 성공. 3월 13일: 폭군은 이제 리옹에 있다. 공포가 사람들을 사로잡았다. 3월 18일: 반역자가 파리에서 며칠 거리에 도착했다. 3월 19일: 보나파르트는 서둘러 접근했지만, 파리로 진군하는 데는 실패했다. 3월 20일: 나폴레옹, 내일 파리에 입성할 것. 3월 21일: 나폴레옹 황제가 퐁텐블로에 있다. 3월 22일: 폐하께서는 어제 저녁 파리에 도착하신 것을 축하하셨다. 그 환희는 말로 표현할 수 없다. 주진우 시사인 편집위원이 공개한 육성 녹취 파일에 따르면 윤석열 대통령의 배우자 김건희 전 코바나 대표는 계엄 이후 시점인 지난해 12월 지인과 통화에서 "조중동(조선·중앙·동아일보)이야 말로 우리나라를 망치는 애들"이라며 "지들 말 듣게끔 하고 뒤로 다 기업들하고 거래하고, 얼마나 못된 놈들인 줄 아느냐"고 말했다. 김 전 대표는 "아주 난 조선일보 폐간에 목숨 걸었어"라고 적개심을 드러냈다. 배경은 확실하지 않지만, 조선일보 기자가 윤 대통령 부부 공천개입 의혹을 뒷받침할 통화 녹음을 확보했다는 사실에 대해 김 전 대표가 격분했다는 설이 나온다. 김건희가 어떤 방식으로 조선일보를 폐간시킬 수 있을지 알 순 없지만 단서는 있다. 윤석열이 직접 검토해 발표한 계엄 포고령에는 "모든 언론과 출판은 계엄...

경마에서 왜 ‘더비’라고 말할까

图片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1365] 경마에서 왜 ‘더비’라고 말할까 2025-02-28 06:32 영국 최고 전통 경마 '앱섬 더비' 2020년 이 코너 축구편에서 ‘맨체스터 더비’ 이야기를 다루면서 ‘더비‘ 유래에 대해서 설명했던 적이 있었다. 원래 더비라는 말은 영어 ‘Derby’를 우리말로 표기한 것이다. (본 코너 257회 ‘‘맨체스터 더비(Manchester Derby)’의 ‘더비’는 어떻게 생긴 말일까‘ 참조) 옥스퍼드 사전에 따르면  ‘Derby’ 는 같은 지역을 연고지로 하는 두 팀의 라이벌 경기를 뜻한다 .  더비라는 말의 기원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  단어 유래에는 세 가지 설이 전해진다 .  영국 도시 더비셔의 애쉬본에서 열리는 로열 슈로베타이드 풋볼에서 유래됐다는 설 , 1789 년  12 대 더비 백작에 의해 설립된 영국의 경마 더비에서 유래됐다는 설 ,  잉글랜드 정중앙 철도 교통의 중심지인 더비라는 도시에서 나왔다는 설 등이다 .  정확하지는 않지만 이 가운데 경마에서 나왔다는 설이 유력하다 . 테오도르 제리코 '엡섬더비' 1821년 작품 경마 더비는 1789년 영국의 더비 백작이 3세마들을 모아 대결시키는 경주를 기획했고, 앱섭다운스 경마장에서 첫 더비경주가 개최됐다. 이는 오늘날까지 ‘앱섬더비(Epsom Derby)’로 이어오고 있다. 연령제한이 있기에 경주마에게는 딱 한번밖에 우승의 기회가 없어 경마팬들의 인기를 모았고, 최고의 경주로 부상했다. 실제로 영국의 '앱섬 더비'는 1·2차 세계대전 중에서도 멈추지 않았을 만큼 영국인의 자부심이 담긴 대회다. 전 영국 수상 윈스턴 처칠 역시 ”영국 수상보다는 앱섬더비 경주 우승마의 마주가 되고 싶다“라고 말하기도 했다. 세계 각국은 ‘앱섬더비’를 본떠 미국의 ‘켄터키더비(Kentucky Derby)’, 일본의 ‘재팬 더비(Japan Derby)’, 홍콩의 ‘홍콩 더비(Hongkong Derby)’ 등 100여개...

[종합] 윤석열의 계엄 쿠데타, 9개월간 치밀하게 준비된 음모

图片
  기자명  정강산 기자    승인 2025.02.26 21:58    댓글 0   2024년 3월, 삼청동 안가 회의에서 계엄 초석 김용현, 조태용, 여인형 등 핵심 인사들과 초기 논의 총선 패배 후 본격화된 계엄 준비 6월, 충성 장성 모아 군부 포섭 노상원 수첩, "NLL에서 북의 공격 유도" 대규모 포격 훈련으로 충돌 유도 8월, 민주노총 및 야당 정치인 "비상조치로 제거해야" 논의 김용현 국방부 장관 지명 후 계엄 준비 박차 10월, 방첩사를 통한 대북 무인기 도발 11월, 계엄문건 작성 및 병력 배치 계획 12월 1일, 윤석열이 직접 병력 규모 및 배치 계획 확인 12월 2일, 계엄 선포문·담화문·포고령 최종 승인 ▲내란수괴 윤석열 지난 25일 윤석열 탄핵심판의 최종 변론이 마무리된 가운데, 판결 선고까지는 약 2주가 남게 됐다. 윤석열은 최후진술에서조차 “공산 전체주의 세력의 위협”을 운운하며 자신의 망상과 광기를 여과 없이 드러내 대중을 아연실색케 했다. 그러나 비상계엄은 평소 감정조절이 잘되지 않는 윤석열 개인의 일탈이 아니라 최소 9개월에 걸쳐 체계적이고 조직적으로 준비된 기획이었다. 이에 본지는 윤석열이 비상계엄을 준비하기까지의 과정을 정리했다. 2024년 3월, 삼청동 안가 회의에서 계엄 초석 김용현, 조태용, 여인형 등 핵심 인사들과 초기 논의 2024년 12월 3일, 윤석열과 그 수하들은 비상계엄을 선포하고 국회를 해산하며 주요 반대 세력을 체포하려는 시도를 감행했다. 명목은 국회에서 야당이 주도한 정부 예산 삭감, 국무위원 탄핵절차 진행 등이었다. 그러나 이는 일각에서 말하듯 “술 취한 멧돼지에 의해 하루아침에 감행된 것”이 아니었다. 최소 지난해 3월부터 계엄은 착실히 준비되고 있었다. 지난해 22대 총선을 앞둔 3월경 윤석열은 삼청동 대통령 안가에서 김용현 당시 경호처장, 조태용 국가정보원장, 여인형 국군방첩사령관, 신원식 당시 국방부 장관 등을 모아놓고 시국이 걱정된다...

동아일보 “尹 최후 진술, ‘분열의 3월’로 가는 불씨”

图片
  [아침신문 솎아보기] 한겨레 “혐오·불복 부추긴 윤석열의 종북몰이” 조선일보, 1면에 “탄핵 기각·오동운 즉각 구속” 의견 광고 ​ 기자명김예리 기자 입력 2025.02.27 07:46 ▲2월25일 탄핵심판에서 최후진술하는 윤석열 대통령. 동아일보와 한겨레가 26일에 이어 1면에서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심판 최후진술 궤변에 따른 ‘분열의 3월’, ‘사회 갈등 격화’를 우려했다. 반면 조선일보는 1면에 윤 대통령이 제시한 개헌 의제를 띄우는 한편 대통령 탄핵 기각을 촉구하는 의견광고를 실었다. 다수 신문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 항소심 징역 2년 구형 소식도 1면에 실었다. ​ 다음은 주요 전국단위 아침종합일간지 1면 기사 제목이다. ​ 경향신문 <명태균 수사팀, 오세훈 후원자 압수수색> 국민일보 <저출산 암흑터널 9년 만에 빛 봤다> 동아일보 <‘분열의 3월’ 불씨 던진 尹 최후진술> 서울신문 <출생아기 9년만에 늘었다> 세계일보 <매년 줄어든 아이 울음 9년 만에 다시 커졌다> 조선일보 <이재명 항소심 3월 26일 선고> 중앙일보 <4000명 사상 북한군, 3000명 또 보냈다> 한겨레 <혐오·불복 부추긴 윤석열의 종북몰이> 한국일보 <세부 인허가에 10년, 활력 잃은 K해상풍력> ​ 동아일보는 이날 1면 머리기사에서 “윤석열 대통령이 탄핵심판 최후진술에서 헌법재판소 탄핵 결정에 대한 승복이나 국민 통합 메시지를 내놓지 않으면서 국민 분열이 증폭될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며 “3월 중순으로 전망되는 헌재 탄핵심판 선고를 앞두고 갈등이 폭발할 수 있다는 관측 속에 윤 대통령의 최후진술이 ‘분열의 3월’로 가는 불씨가 됐다는 비판이 나온다”고 했다. ▲27일 동아일보 동아일보는 윤 대통령이 자신에 대한 탄핵 시도를 ‘내란 공작’으로 규정하는 한편 탄핵 기각 시를 전제로 임기 단축 개헌 추진 의사 등을 밝히며 지지층 결집에 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