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숙청·혁명'은 협상 기술이었나...한미정상회담 시종일관 화기애애

 트럼프 "선거 승리 축하" 덕담에, 이 대통령 "피스메이커 역할 부탁" 화답

이재명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5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DC 백악관 오벌오피스에서 열린 한미 정상회담에서 웃으며 대화하고 있다. ⓒ AP=연합뉴스

[기사대체 : 26일 오전 4시 10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이재명 대통령을 백악관으로 모시게 돼 아주 영광으로 생각한다면서 대선 승리를 축하했다. 이에 이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 취임 후 '미국이 다시 위대해지고 있다(MAGA. Make America Great Again)'고 화답했다.

취임 후 처음 서로를 마주한 한미 정상이 25일(현지시간) 미 백악관 오벌오피스(집무실)에서 화기애애한 대화를 이어갔다.

트럼프 대통령이 회담 3시간 전 "한국에서 지금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 건가. 숙청이나 혁명 같아 보인다"는 폭탄 발언을 SNS에 게재했던 것과는 전혀 다른 분위기였다. "미국 측의 협상 전략", "트럼프 대통령 특유의 거래의 기술"이란 정부 측의 관측이 맞아 떨어진 것(관련기사 : 트럼프 "한국 정부, 교회 수색하고 미군기지서 정보 수집" https://omn.kr/2f2kz).

조선업 협력·무기 구매에 기대 드러낸 트럼프

트럼프 대통령은 모두발언을 통해 "(이 대통령이) 오늘 백악관에 오신 것을 진심으로 환영한다"며 "양국 정상은 사실 서로 잘 알고 있고 잘 지내고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한국 쪽에서 추가 관세 협상에 관심이 있다고 들었는데 괜찮다. 원하는 것을 다 줄 것은 아니지만 열린 자세로 논의할 준비가 돼 있다"라며 "(오늘) 무역을 포함해 여러 사안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그는 주로 앞서 관세 협상 당시 논의했던 '마스가(MASGA. Make American Shipbuilding Great Again)', 한미 조선업 협력 프로젝트와 한국의 미국 군사장비 구매에 대한 기대를 드러냈다.

먼저 조선업 협력에 대해서는 "사실 미국은 2차 세계대전 때 선박을 하루에 한 척씩 만들었는데 지금은 아주 쇠락한 상황"이라며 "앞으로는 한국에서 선박을 구매할 뿐 아니라, 미국 내에서 미국 인력을 활용해 한국 기업과 함께 선박을 건조하게 될 것"이라고 했다.

특히 "한국과의 협력을 통해 미국에서 다시 선박이 건조되길 바란다. 그렇게 해서 미국 조선업이 다시 부흥할 기회를 갖길 바란다"고 밝혔다.

무기구매에 대해서는 "미국은 세계 최고의 군사장비를 만든다"면서 최근 B-2 폭격기 활약 등을 자랑했다. 그러면서 "한국이 이러한 미국의 뛰어난 군사장비를 많이 구매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재명 대통령이 25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DC 백악관 오벌오피스에서 열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의 한미 정상회담에서 발언하고 있다. ⓒ 연합뉴스

'피스메이커 트럼프' 강조한 이 대통령

이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께서 오벌오피스를 새로 꾸미고 있다는데 정말 보기 좋다. 품격 있어 보이고 미국의 새로운 번영을 상징하는 것 같다"면서 분위기를 더욱 부드럽게 이끌었다.

무엇보다 트럼프 대통령에게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을 만나 한반도의 '피스메이커' 역할을 해 달라고 요청했다. 노벨평화상 등 임기 중 가시적인 외교적 성과를 얻고자 하는 트럼프 대통령 맞춤형 접근이었다.

이 대통령은 모두발언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말하신 조선업 분야뿐 아니라 제조업 분야에서 르네상스가 이뤄지고 있고 그 과정에서 대한민국이 (미국과) 함께 하길 기대한다"라며 "(트럼프 대통령 취임 후) 미국이 평화를 지키는 기존 역할을 넘어서 새로운 평화를 만드는, 피스메이커로서의 역할을 하는 게 눈에 띈다"고 했다.

이어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 중동 여러 곳에서의 전쟁들이 트럼프 대통령의 역할로 멈췄다. 세계 지도자 중 이런 평화 문제에 (트럼프) 대통령처럼 관심을 가지고 실제로 성과를 낸 경우는 처음으로 보인다"고 추켜올리며 대북 문제 해결에도 적극 나서달라고 했다.

이에 대해 이 대통령은 "김정은 위원장과도 만나시고, 북한에 트럼프 월드도 하나 지어서 저도 골프를 칠 수 있게 해주시고, 그래서 전세계가 인정하는 세계사적 피스메이커로 역할해주시기 바란다"며 "아마 (김정은 위원장도) 기다리고 있을 것 같다"고 했다.

2025년 8월 25일 워싱턴 D.C. 백악관 오벌 오피스에서 열린 미국 대통령 도널드 트럼프와의 양자 회담 중 한국 대통령 이재명이 참석하고 있다. ⓒ AFP=연합뉴스

트럼프 "이 대통령, 북한 문제 해결 의지 있어... 김정은 만남 추진할 것"

트럼프 대통령은 이러한 이 대통령의 발언에 다시 악수를 청하며 "대단히 감사하다. 다시 한번 (백악관에) 모시게 돼 영광이다"고 화답했다. 이어 "(저는) 김정은 위원장과 좋은 관계를 가지고 있고 현재도 매우 좋은 관계"라고 강조했다.

특히 그는 "제가 보기에는 이 대통령이 한국의 어느 지도자보다도 북한 문제를 더 적극적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의지를 갖고 있다"며 "우리가 함께 노력한다면 (북한 문제 해결에) 좀 더 진전이 있을 수 있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이 트럼프 1기 행정부 때보다 현재 한반도 상황이 더욱 나빠졌다고 했을 땐 "(바이든 전 대통령이 아니라) 내가 만약 대통령에 당선됐다면 그런 일이 발생되지 않았을 것"이라고 맞장구쳤다.

이에 이 대통령은 "전적으로 공감한다. 김여정(북한 노동당 부부장)이 미국과 저를 비난하는 발언을 할 때도 저는 '(트럼프) 대통령과 김정은의 특별한 관계에 대해 의심하지 않는다'고 했다. (김 부부장 발언이) 기다리고 있다는 뜻으로 보였다"라고 말했다.

또한 "저의 관여로 남북 관계가 잘 개선되기는 쉽지 않은 상태인데, 실제로 이 문제를 풀 수 있는 유일한 인물은 트럼프 대통령"이라며 "대통령께서 '피스메이커'를 하시면 저는 '페이스메이커'로 열심히 지원하겠다"고 덧붙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김정은 위원장과의 만남을 추진하겠다고 답했다. 그는 "김 위원장이 바이든 전 대통령은 안 만나고 싶어했지만 나는 만나고 싶어할 것"이라며 "그렇게 추진할 것"이라고 했다.

이재명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5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 백악관에서 정상회담을 하며 악수하고 있다. ⓒ 연합뉴스


评论

此博客中的热门博文

[우리말 바루기] 들렀다, 들렸다?

‘결실’은 ‘맺지’ 말고 ‘거두자’

윤석열의 '서초동 권력'이 빚어낸 '대혼돈의 멀티버스'